산불 관리의 과학적 근거 로운 known 2
이창배 외 지음 / 지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산림과학원이라는 곳에서 산불에 대한 이런 연구도 하고 계셨다. 뭔가 국민의 입장에서는 안심이 되었다. 이분들이 이런 연구와 시스템 개발하고 현실화 할 때 이 쪽에 힘을 보탤 수 있는 시민이 되고 싶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산불 관리의 과학적 근거

산불의 연중화와 대형화는 기후변화의 산물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이 나무에 불이 붙기 쉽고 확산되기 쉬운 조건을 만든다.(p.9)

서울식물원이 처음 생겼을 때 어린 슬이를 데리고 방문한 적이 있다. 훌륭한 곳이었지만 우리집에선 너무 멀어서 ㅜ 한 번 가고 다신 갈 엄두를 못냈더랬다. 벌써 5-6년 전이지 싶은데 그 곳에서 나의 뇌리에 박힌 몇 장면이 있다. 그 중에 하나는 호주에 관한 애니매이션이었다. 일부러 불을 낸다는 내용이었다. 따지고보면 화전민개념이었는데 현대에도 불을 질러 개간할 땅을 얻는다는 개념이 일단 문화충격이었다. 자주 불을 지르다보니 그 곳에 많다는 코알라들이 좋아하는 유칼립투스가 산불이 일어났던 곳에 매우 잘 자라는 식물이라는 내용이었다. 아... <사피엔스>에서 말했던 농사가 혁명일 수 밖에 없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농사라는 것이 자연에 인위적인 행동으로 사피엔스 종족의 이기적인 행위에 불과한거였다. 그러나 어쩌랴. 잘먹고 잘 사는 것이 사피엔스의 유일한 목적인데.

어쨌든 제국주의 관점에서 볼 때 남태평양이 가장 늦게 발견되어 호주는 그렇다치고 우리나라를 살펴보자면 최소한 일부러 불을 내는 나라는 아니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것은 의외로 담뱃불에 의한 화재비율이 낮다는 것. (낮다고 하면 안될 것 같다. 입산자에 의한... 화재가 1위임을 생각하면 어쨌든 담배를 피우려고 들고 다니시는 도구들이 화재의 원인이 되기 쉬우니 말이다) 우리나라가 전쟁이후 잘 자라기 쉬운 나무들로 잘 심어 녹화에 성공했지만, 아마존이 한번 불타면 뿌리들이 몇 천 년 된 것들이라 쉬이 꺼지지 않는 것처럼 우리나라들 나무들도 산불이 나면 쉽게 꺼지지 읺는다는 점. 그리고 산불진화헬기가 너무 부족하다는 점. 처음엔 우리나라가 작으니 이수치 일까 싶었는데 우리 국토의 60퍼센트가 산인 걸 생각하면 헬기가 더 많이 필요하겠다는 점, 침엽수에서 산불이 주로 난다는 점, 산불 예방용 나무 심기프로젝트가 있고 진행되고 있다는 점 등등이다. 도시에 살고 있고, 등산이 취미가 아니라서 휴가때 주로 물가로 가는 나로서는 이 책을 읽는 동안 전혀 모르던 산과 산불의 세계로 건너갔다 온 기분이다. 내가 산을 등한시했다고 남의 집 이야기로 읽히진 않았다. 나 역시 이모부님 두 분이 소방관으로 일하고 계셔서 그 분들의 3교대 시스템의 피곤함과 불과의 위험한 싸움에 대해 대충은 알고 있기 때문일까? 불에 대한 인문학적 의미는 차치하더라도 기후위기로 잦아진 산불에 대해 시민들에게 다각도로 고찰할 기회를 주는 매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