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가장 밝은 지붕
노나카 토모소 지음, 권남희 옮김 / 사계절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두운 심해에서 가장 밝은 해파리는 별이 되어
밤하늘을 별빛으로 물들인다

두 살 때 자기를 버리고 떠났다는 친엄마 덕분일까. 크게 혼낸 적 없는 아빠와 새엄마의, 무언가 인공적인 따뜻한(!!)지붕 밑에 사는, 츠바메. 그래서인지 유독 편안하게 느껴지는 밤하늘을 보기 위해 서예학원 옥상에 자주 올라간다. 어느 날, 밤. 바로 그 곳에서 짝사랑하는 옆집 오빠, 도오루에게 줄 생일 카드를 쓴다. 다음 날 아침 일어나자마자 후회하는 츠바메는 답답한 마음에 옥상으로 올라간다. 그곳에서 라벤더색 머리칼에 요란한 옷차림, 껄렁껄렁한 말투의 별 할머니를 만난다. 그 할머니는 킥보드 타는 법을 자신에게 가르쳐 주면 그 카드를 되찾아주겠다고 약속하는데...

“얄팍한 함석지붕이어도 정성껏 손질한 집은 성실하게 사는 사람이 살고 있어. 지붕에 부담이 가고 무겁기만한 장식 기와를 올린 집은 어깨에 돈이며 속박, 무거운 것을 잔뜩 짊어지고 살지. 천창이 있는 집은 난 별로야, 만에 하나 휴식하다 들키기라도 하면 골치 아프거든.”(p.64) 미니멀라이프의 유행을 예견한 걸까, 별할머니는 츠바메에게 지붕이론을 설파한다.

“(...)지붕이 지켜주는 거다, 집이든 사람이든.”(p.65)라고 믿고 있는 별할머니는 츠바메네 지붕을 이렇게 표현한다.

“너희 집은 별로야. 뭐냐, 그 번쩍거리는 천박한 파란색. 기와가 아니라 플라스틱 같잖아. 태풍이라도 오면 다 날아가버려.”(p.64) 츠바메의 집은 겉으로 보기엔 그럴싸하지만 태풍이 오면 날아가버릴 위기의 재혼 가정이라는 것.

<우주에서 가장 따뜻한 지붕>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붕'은 중요한 모티브다. 호시노 토요라는 이름을 가진, 별 할머니는 해파리처럼 자유롭게 살아온 것으로 보인다. 츠바메가 별 할머니를 처음 만난 날, 그녀는 지붕 위를 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말은 다른 한편으로는 젊은 시절, 날아다니는 자유영혼으로 산 댓가로 지붕을 갖진 못했다는 의미가 된다. 나이가 든 지금 세월을 온몸으로 받아오며 살아왔을 이 분은 츠바메를 보자마자 가식이라는 둥, 독설을 퍼부으며 까칠한 성격을 보이는 게 아닐까. (그래서 별 할머니는 손자 마코토가 있는 선홍색 지붕을 찾으러 다닌다) 자유로운 해파리는 때로 독을 쏘기도 하니까 말이다.

그에 비해 지붕 밑을 벗어난 적 없는 츠바메,

지붕을 벗어나 돌아오지 않은 츠바메의 엄마,

친엄마가 떠난 츠바메네 지붕을 아빠와 함께 “번쩍거리는 천박한 파란색”의 지붕을 지키는 새엄마,

지붕을 벗어났다가 다시 돌아온 도오루의 누나 이즈미.

별 할머니와 함께 선홍색 지붕을 찾아주며 부모의 지붕 밑을 떠나는 연습을 하기 시작한 츠바메는 (이후는...반전이 있어 뭐라고 쓰진 못하겠고 읍읍)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나를 이 세상에 보내준 친엄마가 나와 내가 만든 간판을 발견할 수 있도록”(p.249)간판 가게에서 일하려고 마음먹으면서 이 소설은 끝난다.
나와 내가 만든 간판이라니. 원서를 다시 보고 싶은 마음이지만 이대로도 괜찮다. 따뜻한 지붕을 알기 전 엄마를 생각하며 그리기 시작한 서예하는 ‘나’와 별 할머니가 알려준데로 무게에 휘둘리지 않고 가라앉아도 좋으니 한 번 더 떠오를 수 있는 것을 아는 ‘내’가 만든 간판을 만드는, 성장한 츠바메일테니까.

p.s. 별 할머니의 껄렁함과 사사가와의 불량함이 똑 닮..소름 그리고 표지 제목을 해파리가 가라앉았다가 다시 떠오르는 모습이 마치 하트의 윗부분같기도 하고.. 참 사랑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