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여름 - 내가 그리워한 건 여름이 아니라 여름의 나였다 아무튼 시리즈 30
김신회 지음 / 제철소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통해서 작가는 ‘여름’ 하면 주루룩 줄 세워 꺼내놓게 되는 좋아하는 것들, 추억들, 과거 자신의 모습들, 스친 인연들을 곱씹는다. 작가에게 나를 한 번 투영해보았다. 나는 무엇이 떠오르나. 사실 여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서(제일 좋아하는 계절은 단연 가을이라고!) 덥고 습하고 열대야에 푹푹 죽어가는 나, 모기가 윙윙거리는 소리 선풍기가 탈탈거리며 회전하는 소리에 시달리는 나, 에어컨 바람에 결국 감기 걸려버린 나… 같은 장면들이 먼저 떠오르지만 나도 여름의 낭만과 에피소드를 읊어보자면 이렇다.

우선, 시린 얼음잔에 가득 부어진 맥주. 좋아하는 친구 혹은 가족과 함께 갔던 부산이나 대만 베트남에서 밤바람을 맞으며(중요!) 피자를 먹고 밀크티를 먹고 콩커피를 먹었던 기억. 영화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태어나 처음으로 고된 노동을 끝낸 센(치히로)이 폭우로 불어난 바다를 보면서 먹는 호빵이 생각난다. 음악은 에피톤 프로젝트가 만들고 임슬옹이 부른 ‘여름, 밤’. 신맛과 단맛이 적절한 농도로 섞인 자두가 땡기고,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들이 떠오르고(이 책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해서 반가웠다. 나는 특히 <티티새>나 <바다의 뚜껑>을 생각하곤 한다.), 잠옷만 입고 슬리퍼 대충 끼워신은 채 신난 강아지를 앞세우고 평화롭게 걷는 산책길이 떠오른다. 수영에 빠져서 늘상 머리카락을 적신 채 염소 냄새를 풀풀 풍기고 다녔던 나, 기타를 배우다 때려쳤던 나, 전인권 노래에 돌고돌고돌았던 락 페스티벌의 어느 순간, 민증인지 외국인등록증인지를 대뜸 내밀며 본인이 영국인임을 어필하던 이태원의 한 외국인, 지금은 멀어졌지만 꽤나 친하게 지내며 콘서트와 낯선 카페를 누비게 해주었던 덕질 메이트 언니들…

책에서 이런 문장이 나온다.(이 책의 부제이기도 하다.) “내가 그리워한 건 여름이 아니라 여름의 나였다”고. 얼레벌레 여름의 ‘나’를 끄집어내서 적어보니, 꽤나 알차고 좋았던 여름이었구나 결론이 났다. 장마를 앞둔 지금, 올해 여름도 부디 적당히 덥고 많이 신나기를.(아니 제발 덥지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