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아이는 괜찮습니다
사카이 준코 지음, 민경욱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작가 사카이 준코가 '아이가 없는 미혼 중년 여성' 입장에서 일본 사회를 바라보며 소탈하게, 안타깝게, 당당하게, 우직하게 한편으론 한탄을 담아, 한편으론 체념을 담아 의견을 밝히는 에세이. 이 책의 재치 넘치는 첫인상은 띠지의 문구부터 시작된다. [선인장도 말려 죽였는걸요, 아이라니요……]라고 적힌 센스 있는 띠지를 보자마자 이 책에 끌렸고, 바로 리디북스에서 이북을 결제해 읽게 됐다. 


 사카이 준코는 '아이'라는 존재가 이제는 귀중품이 되었다고 역설한다. 아이를 자발적으로 낳지 않는 사람들이 증대되면서, 혹은 낳고 싶어도 낳을 수 없는 상황이 가중되면서 (교육 받은 여성의 경우, '똑똑한 여자를 싫어하는 남자들의 성향'과 '결혼 없이 아이만 낳는 방식은 무조건 인정하지 않는 유교 사회의 몰이해'가 그런 것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성평등 실현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고.) '아이'는 페이스북에 자랑할 수 있는 소품이자 부모의 성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스펙이 되었다는 것이다. 


 사카이 준코처럼 나는 저출산 해결이 사회의 주요 대책으로 떠오르는 국가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뚜렷하고 명확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고, 요즈음 대부분의 여성들처럼 나 역시 아이를 낳아 기르는 것에 회의적이다. '아이'라는 존재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조차 없었달까. 하지만 사카이 준코의 통찰을 지켜보며, 아이를 낳지 않는다는 것은 내 죽음을 지켜줄 사람을 잃는 것일 수도 있고, 내 출세 요건을 잃는 것일 수도 있고,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완전한 승인, 무거운 짐을 함께 옮길 수레를 잃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당장의 미혼 여성, 미혼모, 싱글맘, 이혼 여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 사회에서는 말이다. 


 저출산을 단순히 사회에서 해결되어야 할 암덩어리 같은 문제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인구가 줄고, 아이가 줄어드는 현상은 사회 대책과 깊이 연관된 문제이긴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주류의 흐름이기도 하다. 그러니, 사카이 준코의 말처럼 과거와는 다른, '아이 없는 미혼 여성'을 향한 덤덤한 시선이 먼저 필요하다. '누구나 안심하고 혼자 죽을 수 있는 세상'이 되어야만 한다. 이제는 길거리가 아이 없는 미혼들로 가득찰지도 모른다. 그들을 그냥 잘 살아가도록 그냥 혼자 꿋꿋이 짐을 이고 가도록 인정하고 내버려두자. 아이가 있든 없든 인생의 주요점은 그게 아니라는 걸 이미 많은 이들이 알고 있지 않은가.


우리 세대가 고령자가 되었을 때에는 출산을 경험하지 않은 고령 여성, 즉 할머니이긴 하지만 ‘조모‘는 아닌 사람이 많을 겁니다. 고령 여성이라고 하면 자애로움이 넘치는 존재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만 우리가 할머니가 되었을 때에는 할머니 이미지도 상당히 달라질지 모르겠습니다.

1인 위패에는 아무 장식이 없었고 수수한 색 하나로 찰해진 데다 너무 가늘어 슬픈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에도 여자의 집은 없다." 이런 말이 있지만 적어도 결혼한 여자는 사후에 시댁의 묘 그리고 위패라는 안주할 곳이 있는 모양입니다. 그러나 독신 여성은 사후에도 역시 집이 없답니다.

대부분의 여성은 결혼도 하고 싶고 아이도 갖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교제하는 남성이 결혼도 아이도 원치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도 만혼과 저출산 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여자만 나무랄 뿐 남성을 어떻게 해보자는 얘기는 나오지 않습니다.

머지않아 우리 집 패밀리 트리는 시들어 사라질 겁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이 ‘천명‘이라고 생각할 따름입니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으며 모든 것은 언젠가 끝을 맺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