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문학세계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서 유년기를 지냈던 아멜리 노통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자전적 소설이다. 소설은 세 살 아이 '파이프'의 시선으로 전개된다. 식물처럼 말도 안하고 울지도 않는 특별한 신생아기를 보낸 파이프는 세 살 답지 않은 초월적이고 관조적인 관점을 가지게 된다. 어른들은 미처 알아차리지 못할 스스로의 '초성숙'을 파이프가 독자에게 미리 밝히면서 책은 점점 흥미로워진다. 

 

 파이프는 자신이 이미 글을 깨우쳤으며 외국어로 말할 수 있고 어른들이 너무 놀랄까봐 제 능력들을 숨겼다고 말한다. 이어서, 익사할 뻔한 사건은 자신의 처음이자 마지막 '자살기도'였다고 회고한다. 또한, (원래 유모였던) 니쇼상과는 달리 친절하긴 커녕 매섭게 구는 카시마상을 단순히 악한 인물로 여기지 않고 그녀의 감정을 나름대로 추리하면서 '입체적인 캐릭터'에 대해 수긍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신하다 못해 스스로를 신이라고 생각하던 파이프. 그러나 파이프는 곧 니쇼상과 영원히 지내지 못한다는 진실을 깨우치게 되고, 잉어 호수에서 빠져 죽을 뻔한 사건 등속을 겪으며 점차 세상의 불완전성을 받아들인다. 

 

 파이프의 고백과 성장을 지켜보는 독자들은 그녀가 전혀 세 살짜리 같지 않다며 설정 자체를 의심하면서도, 보통의 아이와 파이프의 속내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보며 유머와 묘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된다. 이 책은 더욱이 아멜리 노통브의 독특한 문체와 묘사가 듬뿍 담겨 있어 그녀의 입문작으로 나쁘지 않다. 처음에는 영 재미가 없어 보였지만, 독서 속도가 붙을수록 발칙한 세 살에 매료되는 즐거움이 있더라.

우리들의 개성은 정말로 별 볼일 없다, 우리들의 취향도 하나같이 평범하기 짝이 없다. 우리가 느끼는 혐오감만이 진정으로 우리를 말해 준다.

세 살이 되어도 정말이지 하나도 좋은 게 없었다. 일본 사람들은, 이 나이부터는 신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맞는 얘기다. 뭔가, 벌써, 없어져 버렸다. 그 무엇보다 소중한, 다시는 되찾을 수 없는, 세상의 너그러운 영속성에 대한 믿음 같은 것이 사라지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