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종이책으로 샀다가 중고서점에 팔았다가 이북으로 샀다가 안 읽혀서 방치했다가 도서관에서 빌렸다가 드디어 완독! 근 이년 여의 밀당이었다. 초반에 잘 안 읽히고 갈수록 가슴이 벅차오른다는 평이 많던데, 난 오히려 책의 초반과 후반이 참 술술 잘 풀려있는데에 반해 중반에서 자꾸 힘을 잃는 느낌을 받았다. 뭐 결론은 '재밌었다'이지만.
 주인공 이수명이야 연약한 캐릭터구나 단박에 감을 잡았지만 류승민이라는 캐릭터는 갈수록 의외였다. 처음에 류승민에게서 받은 인상은 정신병원에 들어온 '표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고, 류승민의 또라이 기질이 병원을 한바탕 즐겁게 뒤집어 엎겠구나 그런 내용이겠구나 그리 쉬 예측했다. 헌데 류승민은 정신병원에서 지내는 날이 점점 늘면서 독자에게 여린 구석을 자주 노출시키는 캐릭터였다. 그룹 회장의 숨겨진 아들이라는 불후한 과거사와 더불어 시력 장애와 합병증으로 딸려온 야맹증이라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결과적으로 류승민이 이수명을 구출하고 보듬는 전개를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누구도 도울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이수명이 저보다 덩치도 크고 힘과 기도 강한 류승민을 도움으로써 자아 찾기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결말이 도출됐다. 이 부분이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사실 트위스트 추는 장면은 유쾌하다 못해 유치하다. 하지만 승민이 전수한 트위스트를 추며 이제 내 인생을 상대하러 나서겠다 언덕 아래를 질주하는 수명의 모습은 대견하다. 트위스트 맘껏 추라고 등 떠밀어주고 싶을 만큼 더욱 응원해주고만 싶다. 보호사 최기훈과 공부에 매진하는 우울한 세탁부와 헬맷 쓴 만식씨 등속 입체적인 캐릭터의 병동 사람들 모두를 함께. 눈이 멀어가는 와중에도 마지막으로 별의 바다를 꿈꾸며 대담하게 비행한 승민처럼 수명도 대담해졌기를, 대담해지기를.

승민은 손을 내밀었다. 머뭇머뭇 맞잡았다. 손을 떼자 손바닥에 승민의 시계가 놓여 있었다.
"이제 빼앗기지 마."
승민의 눈이 고글 속에서 웃고 있었다.
"네 시간은 네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