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내가 올해 읽은 책 중에 가장 좋은 책은 다치나바 다카시의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라는 생각이 든다. 수 많은 서적들이 출판되고, 우리의 눈을 현혹시키더라도 우리는 우리에게 필요한 책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또 우리의 선택을 통해 그 책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자신에게 의미있는 책이 아니라면, 그 책은 진정으로 좋은 책이라고 말할 수 없다. 베스트셀러라고 해서 모두에게 베스트셀러가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는 분명 '출판물의 홍수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도, 항상 잊고 사는 것이 있다. 바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이다. 무엇을 하든 방법론이라는 것이 있다. 책을 고르고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단지 책의 표면만을 통해 그 책을 평가하고 저자의 메시지를 수용하려고 한다. 정작 중요한 것은 그런 평가와 메시지 수용이 아니다. 책이라는 것은 자신을 위한 것이지 저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책을 읽을 때 중요한 것은 나를 위한 책이 되어, 나를 위한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바로 다치나바 다카시는 이런 책을 통한 생각하는 법을 알려준다. 단순히 이 책은 그의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등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바로 우리에게 사고의 틀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우리의 독서 풍토는 다독을 추구한다. 분명 다독이 중요하지만은 그 다독을 통해 자신을 위한 메시지를 추구하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 권의 책을 읽더라도 그 책을 통해 자신을 위한 사고의 틀을 확립할 수 있다면, 다독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글쓰는 법, 생각하는 법, 지적 생활의 방식 같은 류의 책이 척박한 출판 풍토 속에 이 책은 가장 기본적인 나를 위한 독서를 알려준다. 나를 위한 독서를 통해 나의 사고 방식을 확립하게 하고, 더 나아가 '책은 나에게 있어 어떤 존재인가'를 파악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해준다.
각양각색의 책들 속에 우리는 책을 읽는 의미, 그 책이 나에게 주는 의미, 그 의미를 통한 나의 지적 사고의 확립, 지적 사고의 확립을 통한 방법론의 획득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이 올해 최고의 책으로 추천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소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