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가의 토토 - 개정판
구로야나기 테츠코 지음, 김난주 옮김,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 프로메테우스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창가의 토토>란 책을 처음 접한 것은 아마 이 책이 베스트셀러 대열에 들어섰을 때 였을 것이다. 하지만 베스트 셀러를 잘 보지 않는 나에게 이 책은 무수한 책들 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인터넷 서점을 통해 이 책의 독자 후기를 보면서 정말 괜찮은 책인가 보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항상 책을 살 때는 우선 관심 분야와 베스트셀러를 찾아본 다음 인터넷 서점의 독자 후기를 본 후 사는 나였기 때문에 당연히 이 책도 그런 순을 따랐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 대해 후기를 써 놓은 걸 보면서 이 책은 정말 좋은 책일 거야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이런 후기를 쓰는 것을 귀찮아 하기 때문에 좀 괜찮다 싶은 책에도 몇 개의 후기 밖에 없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후기를 적어놨다는 것은 이 책이 아무리 못해도 독자들에게 아주 작은 교훈을 주었거나 좋은 간접 경험을 하게 했다는 것을 뜻한다.

정말 생각한 대로 이 책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책이었다. 특히 우리 현실에 너무나도 딱 맞았다. 어린 토토의 세세한 행동과 상황 묘사를 통해 학교 현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면서 학교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곳이지 순응과 압박감을 주는 곳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학교 생활을 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학교는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줘야 하며, 진정으로 아이들의 바람은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학교가 되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어린 토토에게 모든 것이 신기하고 궁금하게 보였듯이 아이들에게는 많은 궁금증이 있고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가끔은 학교 수업보다도 더 중요한 일이 있다. 바로 아이들의 창의성, 즉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감시체제로 되어있는 학교가 아닌 해방된 공간으로 아이를 인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린 토토에게 이런 공간은 해방된 공간을 뜻하는 지하철 모습을 띤 학교, 그리고 항상 토토의 질문을 친절히 받아주시는 교장선생님과 담임선생님들과의 대화, 그리고 가끔은 자연을 벗삼아 놀 수 있게 해주는 야외수업장이었던 것이다.

또 이 책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어른들의 시각에서 아이들을 보는 것이 아닌 아이들의 시각에서 아이들을 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그런지 토토의 학교에서 교장선생님은 근엄하고 무서운 분이 아닌 너무나도 친숙하고 상냥한 이웃집 아저씨 같은 분이시다. 항상 호기심 많은 토토의 질문에 어린 토토의 키에 맞춰 허리를 낯추신 그런 분이시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시각은 장애인 학생도 급우이며 이 장애인 학생이 학교 생활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모든 장애인 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까지 말하고 있다. 정말 우리에겐 꼭 필요한 시각이다.

대학 입시를 위한 공부와 왕따라는 기이 현상이 펼쳐지는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 책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너무나도 많다. 하지만 그런 시사점을 현재 다 받아들기에는 아직은 너무나도 열악한 현실 때문에 안타깝기만 하다. 하지만 언젠가는 토토의 학교를 우리에게서도 볼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라는 마음이다. 창가에서 항상 무언가를 꿈꾸는 학생들을 볼 수 있길 바라며. . . 토토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