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물리학 - 화살에서 핵폭탄까지, 무기와 과학의 역사
배리 파커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의 물리학

작가
배리 파커
출판
북로드
발매
2015.01.10
평점

리뷰보기

 

 

매우 흥미로운 주제였다. 과학이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특히 물리학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말이다. 전쟁의 물리학이라는 이 책은 장궁, 화약, 대포, 총, 증기기관, 대포, 비행기, 기관총, 무전기, 레이더, 원자폭탄, 수소폭탄 등이 각 시대의 전쟁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시계열적으로 보여준다.

지금 열거한 무기들은 나왔을 당시에 모두 전쟁의 승리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단순히 이러한 무기들이 승리의 주역이라는데서 이 책은 끝나지 않는다. 그 당시 과학사와 연계해 그 당시 무기들과 열거된 무기들을 비교하면서 전쟁에서 왜 승리할 수 밖에 만들었는지를 보여준다.

영불 전쟁에서 장궁은 승리의 주역이었다. 당시 기사들이 입던 사슬갑옷을 쉽게 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살은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화되는 힘을 이용한다. 그리고 화살이 날아가는 사정거리는 초기속도, 화살의 무게, 화살의 발사각도, 공기의 저항, 바람의 영향이라고 말하면서 화살에 대해 물리학 관점에서 설명해준다.

 

한편, 아르키데메스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잠수함에 대해 설명을 하기도 한다. 아르키데메스의 원리는 물이나 기타 액체에 들어있는 물체가 받는 압력, 액체 속에 든 물체의 부력에 대한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원자폭탄 또한 물리학이 큰 역할을 했다. 원자폭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아인슈타인의 E=MC2이라는 공식은 원자폭탄의 폭발력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때때로 물리학의 어려운 공식이나 용어가 나오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물리학을 전쟁을 통해 쉽게 알려주려는 듯 했다. 전쟁에 대해 과학적인 관점에서 이야기 해준 책들은 있지만, 이렇게 순수 물리학 관점에서만 나온 책은 없는 듯하다. 어찌되었든 전쟁이나 물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읽어보길 권한다. 전쟁의 역사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젠가 사랑이 말을 걸면
정용실 외 지음 / 더난출판사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언젠가 사랑이 말을 걸면

작가
정용실, 송윤경|홍진윤|김준영
출판
더난출판사
발매
2014.12.20

리뷰보기

 

 

요즘 같이 빡빡한 시대에 사랑은 드라마에서 나오는 말처럼 사치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단순히 남녀간의 사람을 넘어선다면 사랑은 사치가 아닌 고귀한 일일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든 '사랑'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언젠가 사랑이 말을 걸면>이라는 이 책은 네 명의 여자들이 자신들의 사랑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는 책이다.

 

단순히 사랑에 대한 자신의 생각 공유를 넘어서 우리가 다시 한 번 사랑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 준다. 연한 분홍색의 책 표지처럼 사랑은 풋풋한, 다소 부끄러운 느낌을 풍긴다. 세상에는 많은 사랑이야기가 있지만 결국은 사랑은 자신의 욕심 보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우선이다.  

 

 

"사랑은 나의 욕심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공간을 비우는 것이라는 걸, 또 사랑하는 사람은 화려한 무대 위에서 수많은 관객을 향해 멋들어진 연극을 하는 배우가 아니라 소극장에서 단 한 사람의 관객을 위해서라도 진솔한 독백을 할 수 있는 배우라는 걸 말이다."

 

이러한 배려의 첫 걸음은 자신을 내려놓는 일일 것이다. 자신을 내려놓아야 상대방이 보이고 상대방이 보여야 상대방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면 사랑은 정말 진정한 사랑이 되어간다.

 

 

"제대로 된 사랑, 제대로 된 여행을 한다는 것은 어쩌면 나를 내려놓는 일일 것이다."

오늘 한 번 이 책을 보면서 사랑이 무엇인지, 사랑이 당신에게는 어떻게 다가왔었는지, 그리고 다가온 사랑에게 당신은 어떻게 행동했었는지 되돌아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당신이 믿었던 사랑이 변한게 아니라, 당신의 사랑이 아니었던 사람이 변한 것"이니까. 사랑이 없다고 부정하지는 말자. 상처를 치유해줄 수 있는 건 그래도 사랑이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 생생 트렌드 - 빅데이터와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타파크로스 지음 / 더난출판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생트렌드

작가
타파크로스
출판
더난출판사
발매
2014.11.18
평점

리뷰보기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은 어떨까? 우리의 일상으로부터 나오는 수 많은 데이터를 보면서 한 번쯤 그런 생각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2-3년전 빅데이터 열풍이 불때만 해도 아마 그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물론, 지금도 그런 생각은 유효하다. 그래서 빅데이터에 대한 책도 많이 나왔다.

 

 

정작 빅데이터로 나오는 인사이트라는 것이 아직까지는 많지 않은듯 하다. 빅데이터 자체가 유효하지 않은지, 빅데이터가 단순 분석에 초점을 두어서 그런지, 아니면 제대로 된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없어서 그런지 아직까지 그 이유는 정확히 말할 수는 없다.

 

그런데 <2015 생생 트렌드>는 빅데이터의 실용성을 높여준 책이다. SNS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 일상에 녹여져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해 보여준다.

 

 

책 속의 사례를 몇 개 살펴보자. 맛과 감정에 대한 상관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매운맛은 스트레스, 단맛은 화나는, 머리 아픈, 속상한, 피로, 신맛은 답답한, 멘붕 등과 관련 있다고 한다. 보통 스트레스가 단맛하고의 연관성이 높다고 생각했었는데, 어떻게 보면 조금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최근 부상하고 있는 핫플레이스를 SNS 분석을 통해 연남동, 서촌, 경리단길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경리단길은 무한도전에서도 한 번 나와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단지 이 3개 지역이 핫플레이스라는 것을 넘어 연남동은 음식, 카페, 경리단길은 음식, 서촌은 문화예술 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처럼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생각을 데이터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상식을 벗어난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결국 이것이 빅데이터의 힘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트렌드라는 것을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해주고 이것이 트렌드다라는 개념을 벗어난 좋은 시도인 듯하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너무 단순한 통계 결과만을 제시한 것들이 눈에 띤다. 단순이 A라는 것이 최근 이런 추이를 보이고 있다라는 식의 분석은 통계청의 통계 결과를 보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또한 데이터 분석의 결과 최근의 트렌드를 좀 더 긴밀하게 설명을 했다면 인사이트가 있는 책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레스 스토리콜렉터 27
마리사 마이어 지음, 김지현 옮김 / 북로드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크레스

작가
마리사 마이어
출판
북로드
발매
2014.11.07
평점

리뷰보기

 

그래비티, 인터스텔라. 이 소설책을 보면서 나는 이 SF 영화들이 생각났다. 어쩌면 이 영화에서 봤던 장면들을 상상하면서 이 소설책을 읽어나갔는지 모르겠다. 첫 장부터 흥미진진하게 진행된 이 소설은 우주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시작되었다. 그래서 더욱 앞에서의 느낌이 강렬했는지도 모른다.

 

이 소설의 저자는 꽤난 유명하다. 2012년 루나 크로니클 시리즈의 첫 작품, 신더, 스칼렛, 그리고 이 소설책 크레스. 이미 앞 시리즈부터 유명세를 탄 책이었는데, 앞의 두 작품을 보지는 못했지만 이 작품만 읽어봐도 앞의 두 작품이 얼마나 상상자극과 함께 감성자극을 일으켰을지 눈에 선하다.

 

이 소설의 주인공 크레스는 순순한 영혼의 소유자라고 말해야되나? 어찌되었든 전쟁이라는 배경 속에서 크레스의 감정은 솔직하게 드러나면서 재미를 더한다.

 

"몇 년전 크레스는 인공위성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인 satelite의 어원이 친구, 하인, 아첨꾼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라는 것을 알았다. 그 때는 그 세가지 의미가 자신의 쓸쓸한 처지와는 모순된다고 생각했다."

 

 

카스웰 함장에 대한 크레스의 사랑은 이 소설의 중반부쯤 시작되면서 사막에서 카스웰 함장에 대한 사랑은 극에 달하는 느낌이다.

 

 

"우리가 드라마에서처럼 열정적인 로맨스에 빠질 줄 알았는데.....아니었어요. 나는 이렇게 혼자 죽네요. 단 한 번의 키스도 하지 못하고."

 

 

꽤나 양이 많은 소설이자만, 정말 한 편의 동화를, 때론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처럼 재미있었던 작품이다. 만약 이 책을 읽는다고 한다면, 머릿 속으로 상상을 하면서 텍스트의 감동 그 이상을 경험해볼 수 있을 것 같다.

 

현재처럼 경기가 어려운 시점에 이 소설은 잠깐 모든 것을 잊고 나의 상상과 감성을 자극하는 좋은 촉매제였던 것 같다.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느낌이 드는 책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의 축제가 시작되는 정리의 발견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3
곤도 마리에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집안의 흐트러진 물건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그냥 나둬둬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빨리 정리해야 겠다라는 생각이 드는가? 아니면 이도 저도 아무 생각이 없는가? 만약 첫번째, 세번째라면 지금 "인생의 축제가 시작되는 정리의 발견"이라는 책을 한 번 쯤은 봐도 좋을 듯 싶다.

 

우리가 무언가를 정리한다라면, 단순히 어떤 것들을 깔끔히 제자리에 두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도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 몸을 매일 깨끗이 씻는 것처럼, 내 집도 매일 깨끗이 싶어할것 같다"

 

집이라는 존재, 혹은 사물이라는 존재가 말 그대로 단순히 있는 것이 아니라 나와 일상을 같이 하는 존재로 여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내 집을 내 삶의 동반자로 생각한다면, 항상 깔끔하게 정리되어 나 또한 자연스레 그런 기분을 느낀다면, 책 제목처럼 삶 자체가 축제가 되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 마치 5성급 호텔에 처음 들어가서 느끼는 그런 기분말이다.

 

 

"걸레질은 집안일을 하면서 할 수 있는 요가와 명상이다. 또 하나, 몸을 사용한 바닥 걸레질은 집과 대화하는 행위다."

 

"물건을 소중히 하면 그 물건과의 관계도 깊어진다."

 

 

만약 이 책을 읽고 나와 같은 생각을 한다면, 오늘 바로 정리를 한 번 해보는게 어떨까? 책 뒷편에 나온 정리방법도 참고하면서 말이다. 뜬금없는 정리가 될 수도 있지만 혹시 아는가? 다음날 아침부터 기분이 괜시리 좋아질지.

 

마지막으로 이 책이 정리에 대해 강조하는 말을 전한다.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정리는 아랫말처럼 하는 것이 필요할 듯 싶다. 그렇지 않으면, 정리는 내 머릿 속에서 정리될 필요가 있을테니 말이다.

 

 

"정리는 '한번에, 짧은 기간에, 완벽하게' 해야 한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