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축제가 시작되는 정리의 발견 ㅣ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3
곤도 마리에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집안의
흐트러진 물건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그냥 나둬둬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빨리 정리해야 겠다라는 생각이 드는가? 아니면
이도 저도 아무 생각이 없는가? 만약 첫번째, 세번째라면 지금 "인생의 축제가 시작되는 정리의 발견"이라는 책을 한 번 쯤은 봐도 좋을 듯
싶다.
우리가
무언가를 정리한다라면, 단순히 어떤 것들을 깔끔히 제자리에 두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도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 몸을
매일 깨끗이 씻는 것처럼, 내 집도 매일 깨끗이
싶어할것 같다"
집이라는
존재, 혹은 사물이라는 존재가 말 그대로 단순히 있는 것이 아니라 나와 일상을 같이 하는 존재로 여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내 집을 내
삶의 동반자로 생각한다면, 항상 깔끔하게 정리되어 나 또한 자연스레 그런 기분을 느낀다면, 책 제목처럼 삶 자체가 축제가 되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 마치 5성급 호텔에 처음 들어가서 느끼는 그런 기분말이다.
"걸레질은
집안일을 하면서 할 수 있는 요가와 명상이다. 또 하나, 몸을 사용한 바닥 걸레질은 집과 대화하는 행위다."
"물건을
소중히 하면 그 물건과의 관계도 깊어진다."
만약 이 책을
읽고 나와 같은 생각을 한다면, 오늘 바로 정리를 한 번 해보는게 어떨까? 책 뒷편에 나온 정리방법도 참고하면서 말이다. 뜬금없는 정리가 될
수도 있지만 혹시 아는가? 다음날 아침부터 기분이 괜시리 좋아질지.
마지막으로 이
책이 정리에 대해 강조하는 말을 전한다.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정리는 아랫말처럼 하는 것이 필요할 듯 싶다. 그렇지 않으면, 정리는 내 머릿
속에서 정리될 필요가 있을테니 말이다.
"정리는
'한번에, 짧은 기간에, 완벽하게' 해야 한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