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의 물리학 - 화살에서 핵폭탄까지, 무기와 과학의 역사
배리 파커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15년 1월
평점 :
매우 흥미로운
주제였다. 과학이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특히 물리학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말이다.
전쟁의
물리학이라는 이 책은 장궁, 화약, 대포, 총, 증기기관, 대포, 비행기, 기관총, 무전기, 레이더, 원자폭탄, 수소폭탄 등이 각 시대의 전쟁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시계열적으로 보여준다.
지금 열거한
무기들은 나왔을 당시에 모두 전쟁의 승리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단순히 이러한 무기들이 승리의 주역이라는데서
이 책은 끝나지 않는다. 그 당시 과학사와 연계해 그 당시 무기들과 열거된 무기들을 비교하면서 전쟁에서 왜 승리할 수 밖에 만들었는지를
보여준다.
영불 전쟁에서
장궁은 승리의 주역이었다. 당시 기사들이 입던 사슬갑옷을 쉽게 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살은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화되는
힘을 이용한다. 그리고 화살이 날아가는 사정거리는 초기속도, 화살의 무게, 화살의 발사각도, 공기의 저항, 바람의 영향이라고 말하면서 화살에
대해 물리학 관점에서 설명해준다.
한편,
아르키데메스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잠수함에 대해 설명을 하기도 한다. 아르키데메스의 원리는 물이나 기타 액체에 들어있는 물체가 받는 압력, 액체
속에 든 물체의 부력에 대한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원자폭탄 또한 물리학이 큰 역할을 했다. 원자폭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아인슈타인의 E=MC2이라는 공식은 원자폭탄의
폭발력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때때로
물리학의 어려운 공식이나 용어가 나오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물리학을 전쟁을 통해 쉽게 알려주려는 듯 했다. 전쟁에 대해 과학적인 관점에서 이야기
해준 책들은 있지만, 이렇게 순수 물리학 관점에서만 나온 책은 없는 듯하다. 어찌되었든 전쟁이나 물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읽어보길
권한다. 전쟁의 역사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