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기쁨을 길들이다 - 존재의 가장 강력한 경험, 기쁨으로 성장하는 지혜
프레데릭 르누아르 지음, 이세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살아가면
갈수록 기쁨의 빈도는 줄어들고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어렸을
적 작은 것에 기뻐하던 모습들은 흐릿해지고 불평,
불만,
화남
등의 모습만 눈가에 아른 거린다.
분명,
삶의
기쁨이 있어 지금까지 버텨오고 살아왔을텐데 말이다.
어찌되었든
이런 기쁨이란 존재는 삶을 지속하게 해주는 원동력이다.
<철학,
기쁨을
길들이다>는
쾌락도,
행복도
아닌 기쁨에 대해 이야기한다.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이자 종교사학자인 프레데릭 르누아르는 쾌락과 행복 말고 제3의
상태로 기쁨을 말하는데,
이
기쁨이란 “현저하게
부풀어 오르고 확장된 쾌감”으로
“쾌감보다
더 강력라고 더 포괄적이며 더 깊다”라고
말한다.
철학적인
관점에서 기쁨을 이야기하다 보니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 기쁨에 대해 이야기한 철학자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런 기쁨을 만개하기 위해서는 주의집중,
현존,
명상,
신뢰와
마음 열기,
감사,
끈기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최근
우리가 마음챙김에 관심을 많이 갔는데,
그런
책들에서도 많이 나오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명상을
하다 보면 감정이 자유로이 풀려 나오고 서광이 비친다.
때로는
심오한 기쁨마저 솟아오른다.
그런
기쁨은 대개 뚜렷한 이유가 없으며 특정한 대상이나 생각과 결부되어 있지도 않다.
단지
지금 이 자리에 존재하는 기쁨,
온전히
나를 내놓고 세상과 자기 자신을 살갑게 맞아들이는 기쁨이랄까.‘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를 사랑하고 나 자신에 대해 잘 알고 나 자신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변과 화합을 통해 세상에서 기쁨을 느낄 필요가 있다.
살아감에
있어 분명 기쁨은 삶의 의미를 부여해주는 주요한 요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안정한 인생에 대해 하나 하나 불평불만 보다 기쁨을 누려야 한다.
그래서
보지 말아야 할 것보다 봐야할 것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는 기회를 찾을 필요가 있다.
“인생은
원래 불안정한 것이다.
이미
정해진 이런 사실을 두고 불평을 해야만 할까?
정반대로
인생이 한 권의 악보처럼 딱 떨어지게 정리되어 있고 우리가 앞으로 일어날 모든 일을 안다고 상상해보자.
얼마나
따분할까!”
기쁨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면,
그리고
나에게 기쁨은 어떤 의미였었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펼쳐보면 좋을 것 같다.
“인생은
자기가 행복하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불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