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언트 - 영어 유창성의 비밀
조승연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영어는 개인적으로도 정말 풀리지 않는 문제 중의 하나다. 어떻게 영어를 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이다. 좋은 책을 사보기도 하고 때로는 영어과외를 하기도 하고 아니면 외국인 선생님을 붙이기도 한다. 이런 것들을 해봐도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가 영어다. 외국어이기 때문에 영어를 못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우리 머리 속에는 의식적으로 나쁘다라는 생각이 자리잡힌 듯도 하다.

 

어찌되었든 영어를 잘 하기 위해서 <플루언트>의 저자 조승연이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기본적으로 맥락(환경/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한다. 단어나 문장을 무조건 외운다고 해서 영어가 잘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사실 단어나 문장암기는 중고등학때 이미 해봤던 방식이 아닌가? 물론 지속성이 중요할 수도 있지만 지난한 과정과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환경, 더 나아가 호기심이 없다면 오래 가지 못한다.

 

나는 이 책에서 영어 공부의 스킬에 대해서는 말할 생각이 없다. 언어란 모국어이건 외국어이건 암기 과목이 아니라 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호기심에서 우러나오는 탐구의 대상이라는 것을 몸으로 느끼게 해줄 뿐이다.”

 

 

저자는 큰 그림의 관점에서 영어를 설명한다. 영어적 머리, 한국어적 머리라는 목차만 봐도 알 수 있다. 동양인은 전체를 보고 서양인은 움직임을 본다거나, 영어는 추상적인 반면, 한국어는 직관적이거나 등의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해준다.

 

이뿐만 아니라 영어문장의 구성원리나 단어를 이해나는 방법 등은 한 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것들이다. 특히 단어의 뿌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확장하는 방법은 주의깊게 봐야 할 것 같다.

 

외국어를 잘하려면 단지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능력을 갖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에 못지않게 어떤 상황에서 누구에게 말할 권한이 있는가, 언제 말해야 하고 언제 침묵해야 하는가, 어떤 사람과 이런 말을 해도 되는가, 역할이나 계급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언어를써야 하는가, 말과 함께 사용해도 되는 제스처는 무엇인가등등까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칼질 할 줄 아는 것과 위대한 셰프가 되는 것은 다르다.”

 

결국, 언어라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문화독해력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 고전, 철학 등의 인문학에 집중하라고 이야기한다. 그래야 언어의 뿌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진정으로 마스터 했다는 것은 그 언어가 내포한 인생관과 철학을 이해하는 것이다.”

 

영어로 감정 소통까지 하려면 적어도 매일 1~2시간씩 5~7년의 시간을 투재해야 한다. 무엇보다 외국어 공부는 연예만큼이나 타 문화에 대한 사랑과 이해를 요구하는 감성투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