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 읽고 쓰기 -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이승화 지음 / 시간여행 / 2021년 3월
평점 :
[언론학/미디어] 미디어 읽고 쓰기
이승화 지음 / 시간여행 / 308쪽

우리는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미디어가 갈수록 다양해지는 요즘, 이런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 거 같다. 그렇지만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 그래서 이 책에 관심이 생겼고, 읽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미디어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미디어(media)의 어원은 중간을 뜻하는 미디움(mediim)을 한자로 하면 매체(媒體), 중간에서 연결해주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접하는 책 ‧ 잡지 ‧ 신문 같은 활자 매체, 라디오와 같은 음성 매체, TV ‧ 영화 ‧ 유튜브 같은 영상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
미디어는 다른 사람의 생각과 우리의 생각을 이어주는 통로입니다.
미디어란 무엇인가? (28쪽)
미디어 리터러시란 말은 요즘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데요. ‘읽고 쓰는 능력’이란 의미의 리터러시(literacy)와 미디어가 합쳐진 말입니다.
‧‧‧‧‧‧
미디어 리터러시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미디어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죠.
미디어 읽고 쓰기의 즐거움 (53쪽)
이 책은 미디어에 대한 개념부터 미디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이 책의 내용 중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 부분은 3장 결에 따른 미디어 읽기였다. 그 중에서도 두 번째로 나왔던 따로 또 같이, 미디어 분석하기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책, 영화, 뉴스, 만화와 웹툰, 게임, 소셜 미디어, 개인방송 등 서로 결이 다른 미디어들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각각의 팁을 적어놓았다. 그 중에서도 매일 보고 있지만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뉴스 읽기에 대한 Tip이 도움이 되었다.
뉴스 읽기 Tip
①실제 일어난 일인지, 추측성 보도인지 구분합니다.
②같은 기사의 내용을 다른 곳에서 찾아봅니다.
③이 뉴스가 누구에게 이익이 될지 생각합니다.
진짜와 가짜 논란, 뉴스 (165쪽)
이 책의 Tip들을 참고해서 앞으로 뉴스를 볼 때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노력을 해봐야겠다. 다른 미디어들을 접하게 될 때도 마찬가지로 무조건 수용하지 않고, 비판적 사고를 하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겠다.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주체적으로 검색하고, SNS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을 하는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이 부분은 청소년들이 읽고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꼭 청소년이 아니라도 이 책에서 나온 방법들을 공부할 때 활용해본다면 좋겠다.
미디어는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된 지 오래다. 이 책에서 말하는 책, 영화, 뉴스, 만화와 웹툰, 게임, 소셜 미디어, 개인방송 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를 매일 한, 두 개 이상씩은 꼭 접하게 될 것이다.
미디어를 접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 책에서 강조하는 내용처럼, 주체적으로 미디어를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을 분리하여 균형을 잡는 것도 중요하다.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서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