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 안개초등학교 1 - 뻐끔뻐끔 연기 아이 쿵! 안개초등학교 1
보린 지음, 센개 그림 / 창비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가제본서평단
#쿵안개초등학교 #보린 #센개 #쉿안개초등학교 #안개초시리즈 #창비 #창비주니어 #공포동화 #신간동화 #초등동화 #추천동화

'강력한 공포동화 시리즈의 귀환!'
보린작가와 센개작가의 <쉿! 안개초등학교>에 이은 《쿵! 안개초등학교》가 출간되었다
출간 전 먼저 만나볼수 있는 가제본 서평단으로 뽑혔다.
이미 <쉿! 안개초등학교>로 팬이 되어버린 아이들이 새로운 공포시리즈 《쿵! 안개초등학교》로 더욱 강력해진 공포와 감동의 전율에 빠져든다.

《쿵! 안개초등학교》 의 첫번째 이야기는 '뻐끔뻐끔 연기 아이' 다. 시작부터 오싹해지는 제목에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두근두근!!
표지그림부터 긴장감과 호기심을 부르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안개초등학교 3학년 4반에 있는 좀 이상한 아이들. 언제나 콩깍지 하나에 든 콩 알처럼 꼭꼭 붙어다니는 아이들이다. 넷이 함께 있을때도 이상하지만, 한사람 한사람 다 이상하다.

도래오(또)는 활짝 웃는 얼굴로 미운 소리를 소나기처럼 쏟아내는 재주가 있다
우유주(우유)는 반장인데 반장 같지 않다. 수업시간에 딴생각을 하지만 질문에는 언제나 정답만 말한다
묘지은(묘지)보름달 같은 온쪽이가 아닌 반달 같은 반쪽짜리 아이 묘지은. 이상한 것들이 꼬인다
조마구(조마조마) 자기 눈을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고 화가 나면 몸이 커진다. 커지고 커져 혼낸 사람을 한입에 꿀꺽 삼켜버린다.

교실에서 자리 뺏기 놀이를 하고나서 조마구가 탄 의자 하나를 가져온다. 그 의자에는 조마구라고 이름도 쓰여있다. 그 의자가 교실에 오고나서 뻐끔뻐금 연기가 나고 연기 아이가 묘지은에게 붙는다.
'묘지우유조마조마또' 네 사람은 연기 아이를 원래 있던 곳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해 의자를 제자리에 가져다주기 위해 과학선생님에게 빌린 나침반을 따라간다. 네명이 도착한 곳은 안개초등학교 운동장이다. 초가집이 있는 옛날 마을이 나타난다. 그곳에서 금동이와 개울이라는 아이를 만난다. 아이들은 부모가 돌아가시고 학교에서 지내고 있다.

'달 없는 낮, 해 없는 밤, 땅에선 요괴가 쫓아오고, 하늘에선 불단지가 쏟아진다'
조마구가 말하는 요괴는 누구고 불단지는 무엇일까?
묘지우유조마조마또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까?

*자리 뺏기 놀이로 시작된 이야기는 우리를 과거 전쟁이 한창이던 시간 속으로 끌어들인다.
학교 뒷마당의 썩은 창고. 초등학교에는 저마다 괴담을 하나씩 가지고 있을것이다 특히 오래된 창고나 사용하지 않는 옥상 같은데 이야기거리가 넘치지 않을까?
조마구도 창고에서 탄 의자를 가져오며 연기아이가 나타나고 묘지우유조마조마또는 힘을 합쳐 돌려보내기로 한다.
친구들이 함께 하기에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해나갈 힘도 생기는 것 같다.
과거 속에서 만난 전쟁의 공포, 굶주림, 죽음과 같은 잔인함은 가장 힘없고 연약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상처로 다가온다. 아무도 지켜주지 못하지만 금동이와 개울이, 그리고 묘지우유조마조마또 들은 서로를 구한다. 오히려 아이들에게 총부리를 겨누는 요괴같은 어른들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어떤 어른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도 고민하게 된다
과거에는 전쟁처럼 커다란 사건이 있었지만 지금 아이들은 보이지 않는 전쟁같은 삶 속에서 고통 당하고 있지는 않는지도 돌아본다.
조마구가 몸이 커지고 요괴인간을 어린이처럼 작게 만들어내고 그들이 어떤 인간으로 살아갈 선택을 할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 것이 기억에 남는다.
"이번에는 무엇으로 살까? 요괴로 살까? 인간으로 살까?"(p.114)
내게 던져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이 세상에도 요괴로 살아가는 사람, 인간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있기에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였다.

시공간을 넘나들며 전개되는 이야기에 빠져들어 나도 하늘에서 불단지가 쏟아지는 현장에 있던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졌다.
우리의 역사도 기억하고 아이들이 더 보호받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

@changbi_jr
좋은 책 보내주셔서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