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카인드 womankind Vol.7 : 여성이 행동할 때 - 한국판, 7호 우먼카인드 womankind 7
우먼카인드 편집부 지음 / 바다출판사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우먼카인드』를 처음 보았을 때가 생각난다. 인류를 뜻하는 Mankind의 일부를 Woman으로 바꾸었을 뿐인데 당연했던 무언가가 산산이 파괴되는 기분이었다. 혹자는 Mankind이든 Womankind 이든 무엇이 크게 달라지는 거냐고 마치 경찰이든 여경이든 똑같은 것 아니냐고 삿대질 하는 사람들처럼 화를 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류의 절반이 전체를 대표하는 것 자체가 이미 평등에 어긋나는 것이다.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던 이 사회에 인종, 직업, 국가를 초월하는 다양한 여성의 얼굴을 표지에 넣은 우먼카인드의 존재는 그래서 더 의미 있고 마음 뭉클한 것이었다. 



『82년생 김지영』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드라마와 영화 등에서 여성 연예인이 두각을 나타내자 사람들은(정확히 말하면 대부분의 남성들은) ‘페미니즘은 돈이 된다.’라고 비아냥대기 시작했다. 여성들은 그런 비아냥에 겁을 먹기는커녕 더 열렬히 페미니즘에 돈을 썼다. 여성 작가의 책을 사고 페미니즘적 의미가 있는 제품을 구매했다. 여성 인권을 침해하는 기업이나 방송에는 SNS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항의했다. ‘김치녀’, ‘된장녀’로 여성의 소비를 비하하면서도 여성의 지갑이 열리기만을 바라던 이 모순적인 사회가 조금씩 변화할 수 있었던 건 여성들이 그렇게 연결되고 목소리를 내고 힘을 보탠 덕분이다. 



더 진보적인 변화는 매달 첫째 주 일요일에 시행되는 ‘여성 소비 총파업’에 있다. 자본가 대부분이 남성인 이 사회에서 여성들이 소비만 하다가는 종래에 예쁜 옷만 가득한 옷장만이 남을 것이란 위기감이 여성들을 또 한 발짝 나아가게 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처음 읽었던 『우먼카인드』4호의 주제는 ‘여성들이 일을 멈춘다면’이었다. 1975년 10월 24일, 아이슬란드에서 여성들이 성차별에 반대하며 집 밖으로 뛰쳐나와 대규모 파업 시위를 벌였다. 여성들이 분노하자 나라가 뒤집어졌다. 이듬해에 여성과 남성의 권리가 동등하다는 법이 통과되었고(아니 이런 당연한 사실을!) 1980년에는 세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선출되었다(우리나라는 2012년!). 흑백 사진 속 수많은 여성들의 분노가 20여 년이 지난 대한민국의 나에게로 고스란히 전해져 오는 것 같았다. 한국의 영 페미니스트들과 아이슬란드 여성들의 모습은 많이 닮았다.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는 걸, 여성들에게 국경은 없다는 걸 『우먼카인드』덕분에 생생히 느낄 수 있었다. 



올해 5월에 나온 7호의 주제는 ‘여성이 행동할 때’이다. 조그만 변화에 일희일비하느라 무기력은 더욱 커지고 페미니스트들을 향한 백래시가 더욱 거세지고 있는 요즘, 시기적절하게 나온 주제였다. 표지에는 무지개 같은 강렬한 배경 앞에 저항의 눈빛을 빛내는 쿠바 여성의 얼굴이 있었다. 아니, 사람의 얼굴이었다. 이번 호를 읽으며 스스로에게 가장 많이 물었던 건 ‘페미니즘 티셔츠를 사고 여성 작가의 책을 읽는 것으로 내 책임을 다했다고 자위한 건 아닌가’였다. ‘의식적으로든 아니든 패션계는 사회정치적 운동의 긴장과 에너지를 이용해 브랜드나 젳품에 미묘한 차이를 부여해 자신들의 상업적 매력을 넓혀 나간다. 점차 원래의 메시지는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희석되며, 결국 제품은 그 운동의 아이디어, 실체가 없는 상징만을 나타내게 된다(...)이런 제품을 착용하는 소비자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사회정치적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질 우려가 있다.’ 



소설가 루시 트렐로어의 글 ‘우리는 저항에 있다’는 그때까지 내가 여성에게 돈을 쓰는 것도 페미니즘 중 일부, 라고 변명했던 나를 강하게 몰아붙였다. 여성에게 돈을 쓰는 것도 페미니즘 중 일부이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다. 인정하기 부끄러웠지만 인정해야만 했다. 공교롭게도 루시의 글을 읽고 있던 5월 19일엔 버닝썬 사건에 분노하는 여성들이 강간카르텔 규탄 시위를 벌였고 전날 18일은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 기록되지 못하고 잊혀진 여성들을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틀 전엔 일명 ‘강남역 살인 사건’을 추모하고 잇따른 여성 대상 범죄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렸다. 행동하는 여성들이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 동안 나만 그렇게 멈추어 서서 바쁘다는 핑계로, 혼자라서 참여하기 부담스럽다는 변명으로 소위 ‘무임승차’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소비로만 페미니즘을 실천하는 내 행동이 일종의 소비지상주의, 백래시, 주객전도였음을 인정해야했다. 



“‘미국 소설가 앨리스 워커가 말했듯 행동주의는 내가 이 지구상에서 살기 위해 지불하는 임차료’”이다. 행동 없는 소비는 다른 여성에게 내 임차료까지 대신 내게 하는 것이었다. 루시는 ‘행동주의는 우리 자신만을 보지 않고 주변 세계를 관찰하며 가능한 장소와 시간에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편지, 전화, 청원 등의 로비, 혹은 행진, 공연, 조직 구성, 파업 등의 형식으로 문제에 관여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여성 혐오를 비판하는 청와대 청원을 올리는 것, 여성 혐오 기업을 불매하는 것, 친구에게 페미니즘을 알려주는 것 등 작게 크게 페미니즘을 실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루시의 글은 과거 내가 페미니스트로서 스스로를 정체화했을 때 가졌던 초심에 다시 불이 붙여주었다. 『우먼카인드』에 수록된 글들을 읽으면서 많은 메모를 했다. ‘여성이여, 야망을 가져라!’ 라고 외치는 김진아 작가의 글을 읽으며 공고한 남성 카르텔 속에서 굳건히 살아남자고 다짐하기도 했고 크리스천 재럿의 ‘건강한 완벽주의와 유해한 완벽주의’ 글을 읽으면서 스스로를 더 칭찬하고 긍정적으로 아끼자는 생각도 했다. 그중 이렇게 내게 큰 영감과 용기를 주는『우먼카인드』의 글을 다른 여성들과 함께 읽고 싶다는 마음으로 쓴 글이 있다. 쑥스럽지만 여기에 옮긴다.

 



“당신이 지금 아무것도 하기 싫고 우울한 무기력에 빠져 있다면, 공허한 위로만 던지는 설탕 같은 자기계발서 대신 『우먼카인드』를 읽기를 권합니다. 멈춰 있는 당신을 뛰게 할 기분 좋은 자극제로 『우먼카인드』보다 더 맞춤인 건 없을테니까요.” 여성들이여, 우리 함께 읽읍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