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는 어떻게 신화가 되었는가 - 미디어 의식(Media Rituals)의 비판적 접근
닉 콜드리 지음, 김정희.김호은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의 촌스런 타이틀보단 차라리 책의 원제인 ‘미디어 의례‘가 더 적합했을 듯. 부르디외의 ‘상징권력‘개념을 통해 미디어를 독해하는 방식은 존 B. 톰슨보다 이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훌륭한 책임에 틀림없는데 번역이 엉터리라 영어본과 대조하며 읽다가 짜증이 밀려와 완독은 훗날을 기약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레볼루션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배할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
마셜 밴 앨스타인 외 지음, 이현경 옮김 / 부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랫폼 비즈니스에 관한 한 현재로선 이만한 책이 없는 듯하다. 꼼꼼히 읽어볼만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비드 흄 - 경험이 철학이다 지혜의 씨앗 씨리즈 3
아네트 C. 바이어 지음, 김규태 옮김 / 지와사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카르트의 ‘성찰(meditations)‘을 ‘명상록‘으로 번역한 거 보면 역자분이 철학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닌 듯한데 어찌 이 책을 번역하게 되셨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치란 무엇인가? 장치학을 위한 서론 에세이와 비평 1
조르조 아감벤.양창렬 지음 / 난장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들뢰즈가 쓴 ˝장치란 무엇인가˝도 같이 볼 것을 권함. 아감벤은 푸코의 장치를 일반화해 ‘생명체들을 포획하는 모든 것‘을 장치라 부른다고 하는데, 들뢰즈는 푸코의 장치 개념에 아감벤이 말하는 것과 같은 포획, 제어하는 지층화, 침전의 선뿐 아니라 창조성의 선, 도주선도 포함된다고 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시광선 2022-07-03 0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에게 필요한 건 아감벤이 말하는 것처럼 장치 자체로부터 물러서는 것이 아니라 장치 안에서 도주선, 창조선을 찾아내는 것, 장치 안에서 전쟁기계를 구축하는 것이 아닐까?
 
블록체인 거번먼트 -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전명산 지음 / 알마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사회학 전공자라 그런지 블록체인 기술을 보는 관점이 독특하다. 저자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회적 기술을 내장한 물리적 기술‘이란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여기서 사회적 기술은 거칠게 말해서 넓은 의미의 ‘제도(institution)‘라 보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