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크린 마음이 방 안에 있다 - 고립되고 은둔한 이들과 나눈 10년의 대화
김혜원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도서는 협찬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고립되고 은둔한 이들과 나눈 10년의 대화" 요즘 뉴스와 기사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은둔형 외톨이', 은둔형 외톨이가 해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는 기사와 은둔형 외톨이었던 OO씨가 살인을 저질렀다는 기사, 은둔형 외톨이 10명 중에 7명이 자살충동에 노출 되어있다는 기사를 보고 있자니 자연스레 이들에 대한 관심이 생긴다. 여기서 말하는 '은둔형 외톨이'는 일본어인 히키코모리를 해석한 말로 오랜 기간 (일반적으로 반년 이상) 집에 틀어박혀 사회와의 접촉을 극단적으로 기피하는 행위, 혹은 그런 사람을 칭하는 일본의 신조어라고 한다. 또 정신병리학적으로는 회피성 성격장애와 유사하다고 한다.(출처:나무위키) 이들에 대한 단순한 궁금증이라기 보다는 '은둔형 외톨이'가 늘어가고 있다는 부분에서 '우리 사회가 점점 병들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라는 우려에서 비롯된 궁금증이다. <웅크린 마음이 방 안에 있다>는 '은둔형 외톨이'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 사회가 깊이 관심가져야 할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우리나라에 최소 10만여 명에서 최대 50-60만 명이 존재한다고 밝혀진 그들에 관한 이야기, 상담학과 교수인 저자가 만나온 청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어린 시절에 아버지가 운영하던 회사가 어려워져 친척집에 맡겨져 고통스러운 경험을 한 정민, 가족이 모였지만 그래도 외로웠으며 친구들에게 왕따와 신체적 폭력까지 당하게 된 그녀의 유일한 피난처는 도서관이었다고 한다. 또 다른 상담자인 수현은 오빠만 좋아하는 부모님에게서 자랐다. 부모에게서 좋아하는 것들을 계속해서 외면 당한 경험과 갑작스레 시작된 달동네에서의 삶은 그녀에게 버겁기만 했다. 은둔형 외톨이는 누구에게도 도움받지 못한 채 결국 자신으로부터 고립된 이들을 칭하는 말이었는데, 상처를 극복하지 못 하고 아픈 채로 있는 점이 이들의 공통점이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삶이 무의미하다'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들이 위험한데, 이 때 주변에 손 내밀어주는 사람, 관심을 기울여주는 사람, 밝은 기운을 나눠줄 사람이 한 명만 있어도 이들이 고립되는 일들이 조금은 줄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책에서는 '나를 마주하는 훈련', '고통을 피하는 방법', '내 마음을 드러내는 법' 등 내담자와 힘든 상황을 극복했던 사례에 대해 언급한다.

살면서 나도 아픈 순간들이 있었지만 이겨낼 수 있는 계기도 있었고, 또 좋은 에너지를 나눠준 이들도 있었다. 그리하여 괜찮아졌지만 세상 어딘가에는 오늘도 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아픔의 강도가 모두에게 같지 않듯이 우리는 고립된 사람들을 비판의 대상이 아닌 보다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봐야한다. 은둔형 외톨이는 더이상 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 방법을 논의해야하는 부분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