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교육처럼
이지현 지음 / 지우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다섯 살의 저자는 바라던 예술고등학교 진학에 실패하고, 홀로 프랑스 유학길에 오른다. 프랑스어라고는 고작 두 단어 알고 있는게 전부였기에 프랑스에서의 삶은 살아남기 위해 절박했고, 간절했다고 한다.

 

책을 읽다보니 프랑스 교육은 우리나라의 교육과 달라서 생경하게 느껴지는 것들이 많았다. 입학식과 졸업식이 없는 고등학교가 인상 깊었는데, 프랑스에서의 고등학교는 지식과 교양을 쌓는 배움의 장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한다. 졸업 후에도 어느 학교 출신인지 보다 무슨 공부를 했는지 묻는다고 하는데...... 물론 학연에 의한 폐단을 막고, 능력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는 있겠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소속감을 가질 수 없다는 점이 아쉽게 느껴졌다. 나는 소속감이 주는 연대나 자부심이 마냥 나쁘다고 생각하진 않기 때문이다.

 

또 한국의 수업시간은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번호로 지명했고, 저자는 그렇게 불려왔다고 한다. 하지만 프랑스 고등학교에서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번호가 아닌 이름으로 부른다고 하는데... 사실, 그 부분은 동의할 수 없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아닐까. 왜냐하면 학창시절의 나는 번호보다 이름으로 불린 적이 더 많았고, 그 경험의 소중함을 알기에 교단에 설 때마다 학생들을 번호가 아닌 이름을 부르고 있기때문이다. 

물론, 프랑스의 교육에서 배울 점도 많다고 생각한다. 토론식 수업에서 학생들은 먼저 책을 읽고, 수업에 참여한다. 발표자는 책에 관해 10분간 자유로운 내용으로 발표하고, 개인 발표가 끝나면 선생님이 질문을 던진다. 학생들은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며 토론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데 주력한다. 교수 방법으로만 따지자면 한국에서도 이미 이러한 교육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등 교육과정의 초점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대학 입시'에 맞춰져서일까. 한국의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열띤 토론식 수업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학생들은 방과 후에도 학원 가기 바빠서 토론 수업의 논제에 관해 미리 생각해 볼 겨를이 없다.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수업들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외에도 책에서는 바칼로레아 불문학 필기시험이나 구두시험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바칼로레아 논술 작성법과 예시답안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진정한 '권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지고,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게 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미래의 자산이자 희망이다. 우리의 아이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수 있도록 고민하고, 모색한 후에 시스템화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