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뒷면에 출구 1 - 표지 뒷면에 출구 7부작 1
불휘영 지음 / 샤스타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불휘영 장편소설

<표지 뒷면에 출구>는 작가가 총 7부작을 구상하고 만들어낸 마법 판타지 소설의 첫 번째 이야기이다. 1부는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원자의 모금을 통해 초판이 발간되었다고하는데, 특별한 경로로 만들어진 책이라서 더욱 인상깊다. 책은 비현실의 세계에서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판타지의 매력을 고스란히 가졌다. 사실, 처음에는 등장인물의 파악이 어려워 몰입이 힘들었고 그래서 책장을 덮길 여러번, 제대로 읽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다. (그래도 책의 첫 장에서 등장인물을 소개하고 있어 인물 파악에 도움을 준다.)

 

 

잉코트공화국에는 하룻저녁 열리는 '버드카니발'이라는 축제가 있다. 하늘을 빽빽이 뒤덮고 날아온 새들이 집단 자살을 하는 날인데, 매년12월 하순에서 13월 초순즈음 열리며 정확한 날은 공인 점성술가에 의해 예측된다. 잉코인들은 새들이 자살하는 까닭을 몰랐고, 새들은 다시 죽어서 '새'로 태어날 것이라는 환생을 믿었기에 안타까워하거나 불쌍하게 여기지도 않는다.

 

 

 

이야기는 마법인 인디나 자카란다를 중심으로 전개 되는데, 도시사회종합청사 중부센터 청소년특수관리과의 현장직원이자 계도위원 자리가 공석이 되고, 인디나가 이곳에 취업을 하며 일어나는 일들을 담고 있다. 인디나가 홀리, 파밀라, 울락, 나고 등의 여러 인물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알아가는 부분이나 현실과는 다른 배경들이 펼쳐지는 작품 속 세계가 꽤 흥미롭다.

 

잉코트공화국에는 마법인과 비법인으로 계층을 나누는데, 이에 따른 불평등이 야기된다. 마법을 쓸 줄 아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들 사이에서 마법은 권력이자 곧 무기가 된다. 해리포터에서도 마법사의 혈통으로만 이루어진 순수혈통과 그렇지 않은 혼혈로 구분이 되고, 또 일반 사람들은 '머글'이라고 불린다. 작품 속, 헤르미온느는혼혈의 신분으로 매사에 신중하고, 열심히인 인물이지만 친구들에게 종종 잡종이나 혼혈로 인한 놀림이나 멸시를 받기도 한다. <표지 뒷면에 출구>에서도 그런 부분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마법인들 사이에서 비법인으로 살아가려면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는 대목이었다. 우리의 현실 사회에서도 날 때부터 좋은 환경에서 호사를 누리며 탄탄대로의 인생을 사는 이들이 있는가하면, 날 때부터 불우한 환경 속에서 그 환경과 힘겹게 싸워가며 고달픈 삶을 살아내야하는 이들이 있다. 좋은 환경에서 태어났다고해서 모두가 행복하고, 잘 사는 건 아니지만 어찌됐건 노력과 무관하게 일어나는 일들이라고 생각하니 조금 씁쓸한 생각이 든다.

 

 

울락이 합창단에 소속되고 오래지 않아 어떤 곳의 솔로 파트를 맡게 되었다. 울락은 그 자리엔 자신보다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나고를 추천했다. 합창단엔 마법인만 솔로 파트를 맡을 수 있다는 불문율이 있었는데 나고는 비법인이었다. 그렇게 오랜 관습의 폐지 논쟁이 일었다. 결국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결론이 났다. 그러나 이 일은 몇몇 마법인 단원들을 화나게 했고, 그들은 나고를 괴롭혔다. 울락은 자신 때문인 것 같았다. 나고는 주먹다짐을 할 줄도 몰랐다. 그래서 울락은 녀석들을 대신 손봐줬다. 그렇게 울락과 나고는 소년합창단에서 완전히 쫓겨났다.  p. 43 중에서

 

 

<표지 뒷면에 출구>는 1부에서 환생과 전생에 관한 소재가 언급되고, 2부에서는 인물들이 전생의 기억을 되찾으면서 혼란을 겪게 된다고 하는데, 총 7부의 대서사가 완성되기까지 지켜보는 재미가 쏠쏠할 것 같다. 읽을수록 흥미로웠고, 그렇기에 곧 출간 예정인 2부의 내용도 기다려지고, 기대가 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