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내향인이지만 잘살고 있습니다
전두표 지음 / 푸른향기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향적인 기질이 결점이라고 느껴 숨겨왔던 작가의 지난 모습들.
이제는 당당하게 성격을 드러내며
내향인에 대한 오해를 타파하고자 한다.
우리는 그의 외침을 듣고 내향성이란 결코 무언가의 결핍이 아님을,
온전한 성인의 선택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뼛속까지 내향인이지만 잘살고 있습니다]
전두표 저 | 푸른향기

작가의 말대로 내향인은 어딘가 계속 챙겨줘야 하는 느낌이 든다
빠른 의사결정을 하도록,
대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즐거움을 찾도록 등등
내향인은 대개 외향인의 타깃이 된다.
그런 외향인들에게 작가는 고한다.

“ 사양합니다 갈 길 가세요^^ ”

내향인은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뿐이었다.
셋이상 모이면 자발적 아싸가 된다 하더라도
필요하면 수 백 명 앞에서 축가도 부를 수 있다.
타인을 배려하여 말수를 줄이고 관찰하는 시간이 긴 것이지,
부끄럽거나 생각이 느려서 조용한 것은 아닌 것이다.

한 권을 아울러 작가가 설파하고 있는 내향인의 모습은,
그자체로 완전한 행복이었다.
내향인은 본연의 심지가 굳건하여 타인에게 기대거나 기대하지 않으며,
홀로 안락하고 포근한 보금자리를 품은 느낌이랄까.
외향인은 끊임없이 활동하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얻어야 하는거라면,
내향인은 자기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해낸다.
어떠한 인풋이 없어도 내향인은 행복을 느끼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인풋이 없어야” 더 행복을 느낀다.)


이 책은 지겹도록 작가를 그냥 놔두지 않는 외향인들을 위한
내향인 이해서다. (혹은 내향인 성격분석 보고서 및 호소문)
그리고 내향인들에겐 공감과 위로를 가져다 줄 힐링도서.

내향인으로서 책을 읽으며 공감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극 내향인을 이해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외향적 내향인인 나에게 양방향으로 포용의 폭을 넓힌 좋은 시간이었다.

본인의 내향성이 부끄럽다면,
왠지 모르게 어딘가 고쳐야 할 것 같다면,
사람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하는게 힘들다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책이다.

못 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기”로 선택한 것임을 깨닫는다면
불편했던 감정은 모두 사라지고
단단해진 자기애와 자존감으로 일상이 더욱 안정될 것이다.



<본 포스팅은 푸른향기 서포터즈로서 책을 지원받아,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로 직접 작성된?포스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