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에서 듣는 바이오메디컬공학 - 한양대 공대 교수들이 말하는 미래 의공학 기술
임창환 외 지음 / Mid(엠아이디)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의 발달은 의학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때 사용하는 검사 기구들의 대부분의 의학과 공학 기술의 결합에 의해 탄생한 것들입니다. 특히, 의학 분야와 연관이 많은 생명공학이나 바이오 분야는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으로서 어느 한 쪽도 쉽게 접하기 힘든 부분이기 때문에 두 분야가 융합된 바이오메디컬공학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이 책을 통해 의공학 기술에 대한 짧은 지식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책은 총 7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도 잘 알고 있으며 병원에서 검진시에 아주 중요하게 활용되는 X-레이, CT, MRI, 초음파 영상기기와 같은 기계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신체 일부를 대신하거나 보완해주는 신체증강, 뇌공학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그리고, 미래의 질병 관리를 위한 예방이나 치료 방법, 몸속 세포와 관련된 기술, 인공지능 및 미래의 의료기기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기존에 X-레이를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것이 CT라고 하며, 이는 주로 딱딱한 부위를 잘 볼 수 있지만, 부드러운 조직은 잘 볼 수 없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몸의 디스크 같이 부드러운 부위도 잘 볼 수 있는 MRI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근데, 이 기기에는 대학교 이상에서 배우는 푸리에 변환 같은 고등수학 이론이나 양자역학도 적용될 만큼 복잡한 공학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노년층이 증가하면서, 뇌와 연관된 환자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어서, 이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전기 충격으로 신체가 반응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심장마비의 경우 심장에 강한 전기 충격을 주어 살리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이처럼 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뇌 안에 전극을 이식하여 특정 부위에 주기적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파킨스병, 전증, 만성통증을 치료하는 수술법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전기자극을 ‘Off’하면 기능적으로 원래 상태로 복구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능적 뇌수술법이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뇌를 자극하거나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 그리고 뇌파에 대한 이야기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 기술의 하나하나를 깊이 들어가면 무척 어렵겠지만, 책에서는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하였기에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다양한 공학기술이 바이오메디컬공학 접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펜테믹 경험, 백세 시대를 대비하는 현 상황에서 바이오메티컬공학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가고 있으며, 많은 인재들이 관심을 가졌으면 합니다. :D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