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팔아서 땅을 사라 - 대박땅꾼 전은규의, 개정판
전은규 지음 / 국일증권경제연구소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동산 투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파트와 같은 주택투자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주택 안정화 정책으로 인하여, 전문적인 부동산 투자자나 조직이 아닌 일반인들이 안정적으로 투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반면에 토지투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규제가 강화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최근 LH사태를 통해서 다양한 토지투자 방법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불법이 아닌 법의 약점을 이용한 편법이기 때문에 법규의 보완이 생기겠지만, 토지투자의 매력은 충분히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책은 저자는 토지투자 전문가로서 이미 전국의 수 많은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많은 저서를 통해 토지투자 경험과 노하우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0대부터 60대까지의 가상 인물과 대박땅꾼이 함께 실제 토지투자 하는 과정이 소설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내용 중에 이론 공부 맨날 해도 움직이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란 말과 관련된 내용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큰 목돈을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 너무 신중하게 접근하는 저와 비슷하였기 때문에, 무엇이 잘못되고 있는지, 향 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깨우치게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발품의 중요성, 지식을 바탕으로 한 실행의 중요성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팔품을 팔면서 필요한 이론을 접목시키는 것이 공부에도 더 효과적이라는 것과 고급정보는 발품으로 얻는다는 것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경매를 통해 다양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없는 임야도 싸게 낙찰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임야를 산림청에서 매입할 수도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매물이 있다면, 산림청에 매입 가능여부를 조사한 뒤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양도세 감면을 위해 2년 이상 보유한 뒤에 감정가격으로 보상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도로 없는 맹지나 보전관리지역의 임야는 매우 싸게 낙찰 받을 수 있다고 하니, 매우 안정적인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매입한 임야에 나무가 없다면 기르기 쉽고 잘 팔리는 나무를 심어 판매하는 목테크에 대한 내용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레버리지와 관련해서, 임야는 낙찰가 대비 대출비율이 20% 정도로 적기 때문에 2년 동안 투자 가능한 여유 자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토지에 투자하는 방법이 너무 다양하고, 그 대상에 따라 투자하는 요령도 다르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큰 목돈 없이도 투자가 가능하며, 경매는 물론이고 간단한 노력을 통해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토지 투자를 준비하시는 분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 보시기를 적극 추천 드립니다. :D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