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후들과의 대화에서는 정치의 기본 원리가 주제였다. 나라를 부강하게 하려면 어떤 일부터 해야 하는가, 임금이 되기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임금이 신하에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인가, 어떤 잘못을 저지르면 나라를 망칠 수 있는가 등등.
  대신들과의 대화에서는 인간의 본성을 주제로 삼는 일이 많았다. 인간에게서 일반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품성의 사람을 고위직에 추천할 수 있는지, 임금의 조정에 적합한 사람과 귀족 가문의 가신 노릇에 적합한 사람의 차이 등등.
  무식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도 공자는 거만하거나 초연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가 누구에게도 우월감을 가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누가 무엇을 물어도 "천한 사람이라도 나에게 성심으로 물으면, 나는 양쪽 끝을 다 두드리며 정상을 다하였다"고 한 데서 알아볼 수 있다. 권력자와 이야기할 때 공자는 애매한 말투를 썼고,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는 용솟음치는 말투를 썼다.
  기나긴 여행길 중에 그는 황벽한 곳에 파묻혀 지내는 은둔자들도 만나보았다. 정치적 음모에 너무나 환멸을 느끼고 세속적 이해관계에 너무나 진력이 난 나머지 깊은 산 소나무숲 속에 혼자 초막을 지어 인간 세상을 멀리하고 지내는 사람들이었다. 이들로부터 공자는 자기와 다른 관점을 배웠고, 이를 거울삼아 자기 관점을 다듬을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주제를 놓고도 공자가 마음 편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사람은 자공, 안회와 자로를 비롯한 몇몇 제자들이었다. 주제가 너무 난해하거나 복잡할 때는 주제를 정리해주고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듣기만 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그 자신이 소득을 얻을 때도 있었다.


<공자 평전> 30~31쪽, 안핑 친, 돌베개

  논어에 기록된 사람들의 면면과 그들과 나눈 대화들을 요약한다면, 위 글처럼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공자는 각각의 사람들에게 맞게 대화를 했었던 듯 하다. 제후는 사실상의 군왕이고, 군왕의 덕목인 통치가 나라와 백성을 평화롭게 하기 위한 자세를 주제로 삼았기에 제후들과의 대화가 저러했을 것이다. 공자는 대신을 중요하게 본 것 같다. 그들은 제후를 도와 나라를 통치하는 사람들이고, 그들 실무진에게 도덕적 품성은 상당히 중요한 덕목이라고 본 것이다.
  공자의 대화는 귀천을 가리지 않는다. 높은 신분부터 천한 사람까지, 자신의 수제자부터 자신의 반대자들까지. 그들과의 대화는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진지하고 치열하지 않음이 없어 보인다. 이를 통해 공자는 계속해서 자신을 갈고 닦았고, 이 모습은 한 인간이 성인의 칭호를 받는 과정이 되었다.
  공자는 평범한 인간에서 출발하여 훗날 '세계 4대 성인'이라는 칭호로 불린다. 이 수양의 과정은, 역시 평범한 우리들에게도 말해주는 것이 참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