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오늘의 한국정치는 안락한 보수주의에 빠져 있다. 우리 정치가 이렇게 안락한 보수주의에 젖어 있는 한 발전은 힘들다.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을 다뤄야 할 정당과 이들로 구성된 정치적 대표체제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책임성을 보여 주지 않고 있다. 정치 엘리트들이 사회를 무시할 때 사회 역시 그들을 무시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것은 정치를 조롱하면서 이런 정치를 정당화하는 들러리 역할을 거부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투표율의 하락은 대안이 억압되어 있는 유권자의 절망적 항의로 이해되어야 한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244쪽, 최장집, 후마니타스
사회의 윗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그 자리에 걸맞는 책임성을 보여주는 것을 가리켜서 노블리주 오블리제라고 한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보았으면 하는 덕목이자, 가장 보기 힘든 덕목이기도 하다. 최근 윗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좌우를 막론하고, 그 품위라는 것은 찾아보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 때문일까. 넷 문화에서 상대를 대하는 가장 품위없는 방식이 정치를 조롱하는 방식에도 쓰이는 경향이 보이는 것은. 어차피 너도 나도, 윗사람도 아랫사람도 품위없기는 매한가지라는 것이 그 조롱 속에 담긴 것일까. 특정 웹사이트에서 흔히 말하는 조롱, '패드립', '고인드립'이 정치를 향해서도 횡행하는 것은 그런 이유일까. 과연 이러한 '막돼먹은' 모습은 정치와 윗사람을 향한 절망적 항의일까. 상대방을 무작정 이유 없이 혐오하고 싫어하지 않기 위해, 이렇게도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