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오  (전략) 선악을 둘로 나누고, 이것은 선, 이것은 악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자칫하면 위험한 일입니다. 선이 악을 구축한다, 그렇게 되면 선은 뭘 해도 상관없다는 얘기가 되죠. 그게 가장 무서운 일이에요. 옴진리교 신자들도 자기들은 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런 끔찍한 짓을 저지른 것이죠. 저도 모르게 나쁜 짓을 저질러버렸다…… 그런 차원과는 다릅니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말인데, 악 때문에 일으킨 살인은 수가 매우 적습니다. 그에 비하면 선을 위한 살인은 엄청나게 많죠. 전쟁도 그런 셈이에요. 그래서 선이 기세 좋게 나서면 굉장히 무섭습니다. 그렇다고 '악이 좋다'고 말할 수도 없으니 몹시 곤란하죠.
하루키  취재하면서 느낀 점은, 어느 연령 이상이 되면 "옴진리교는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겁니다. 그런 사람들은 옴진리교를 "그놈들은 절대적인 악이다"라고 판단합니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아요. 20대에서 30대에 걸쳐서는 "그 사람들 심정도 전혀 이해 못 하는 바는 아니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꽤 많았습니다. 물론 행위 자체에는 분노하지만, 동기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정적이었습니다.
하야오  선악의 정의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살아온 삶의 방식에 따라 주입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것이 선이다, 라는 게 있으면, 육체가 아예 그것에 따라 변해버리죠. 지하철 역무원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그런 면이 굉장히 두드러져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감탄이 들 정도에요. 그런데 젊은 사람들은 그런 게 없습니다. 판단이 유연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약속된 장소에서> 272~274쪽,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동네

  선과 악의 이분법이라는 것은 무척 위험한 것이 아닐까? 과연 무엇이 악이고 무엇이 선인지를 어떻게 절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겠는가? 과연 내가 하는 일이 선인가? 다른 이에게는 악일 수도 있지 않은가? 내가 악이라고 생각하여 경멸하는 것이, 다른 관점에서는 선이 아닌가?
  이러한 생각은 다양하게 변주되어 왔다. 주체가 인간인 경우, 인간의 존재가 사라진 지구는 인간이 있기 전보다 훨씬 살기 좋은 땅이 될지도 모른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인간은 악이다. 우리의 삶 자체가 악이라고? 섬뜩한 이야기이다. 역사의 경우, 어떤 집단의 침략은 피해자에게는 악으로 여겨지지만, 결과적으로는 피해자에게 좋은 일이 되었다는 논리도 성립한다. 이러한 논리의 대표적인 예가 '식민지 근대화론'일 것이다. 일제의 식민 통치가 결과적으로 한반도 경제 발전의 바탕이 되었으니, 일제의 통치는 선이다?
  항상 바른 마음을 가지고 바르게 생각하자, 라고 이야기해 왔지만, 여기서 나는 큰 딜레마에 빠진다는 사실을 고백해야겠다. 무엇이 '바른' 마음이고 생각인가? 내가 생각하는 '바름'이 사실은 '그름'이 아닌가? 이 문제는 언제나 나를 괴롭히고 있고, 그래서 나는 고민하고 또 고민하며 잃어버린 마음을 찾아 헤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