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가 해야만 하는 일이란 다른 독자와의 의사소통 없이 '현실화된 관습'을 찾아내는 일이다. '가장 아름다운 미인을 고르시오'라는 말이 주어진 규칙이지만, 이는 가장 마른 사람을 고르라거나 붉은 머리를 고르라거나 혹은 앞니가 벌어진 사람을 고르라는 것보다는 대단히 어렵다. 한 후보가 다른 후보와 구별되는 무엇을 가졌다면 이는 초점이 되며, 사람들은 그가 초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게 된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델이라고 해서 완전히 완벽한 신체를 갖고 있지 않다. 그들은 거의 완벽한 특징을 가졌지만, 몇몇 흥미로운 결함을 가졌기에 사람들에게 인간적으로 어필하고 초점이 된다.
<전략의 탄생> 444~445쪽, 애비너시 딕시트, 배리 네일버프, 쌤앤파커스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라는 이론이 있다. 인간과 흡사하게 닮은 로봇 혹은 유사물에게 인간이 불쾌함과 두려움, 공포를 느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눈 앞에 서 있는 사람이 눈을 전혀 깜박거리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하더라도 왜인지 모를 이질감과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어설픈' 인간다운 로봇이 우리에게 왜 불쾌감을 주는지를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이다.(아직 이 이론이 확실하게 검증된 건 아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인간과 흡사하게 만들려고 애쓰는 로봇은,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완벽한 인간의 형태를 가지게 하려고 한 물건일 것이다. 그러나 그 완전함이라는 것은 인간이 가진 소소한 결점이나 미세한 습관들을 제외한 물건이리라. 눈깜박임, 점, 털, 체취, 약간 어긋난 좌우대칭과 같은 점까지 로봇에 재현시키지는 않았을 것이기 떄문이다.
문득, 우리 눈 앞에 가장 완벽한 인간이 나타난다면 우리는 어떤 반응을 보일지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틀림없이 그 인간을 보며 겁에 질릴 것이다. 그는 완벽한 인간이기에 아무런 결점도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와는 너무나도 다른 무엇인가로 보일 것이다. 아니, 완벽한 인간이 아니라도 좋다. 가장 평범한 인간은 어떨까? 그 역시도 공포의 대상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나 다를 바 없는 존재가 우리 옆에 등장한다면, 우리는 그 존재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모두가 약간의 일그러짐과 어긋남과 더러움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고, 그러한 결점이 우리의 존재를 모두에게 받아들여지도록 하는 요소가 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