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인은 사회에 의해서 잉태되고 성장한 존재이며, 따라서 사회의 억압을 개선하여 일상으로 복귀시켜야 할 책임을 가진(또는 자처한) 존재인 것이다. 이것이 사회와 역사가 지성에게 부여한 책임이며, 그 책임감음 바로 스스로의 자부로부터 발생해 나온다. 즉 이 책무감은 남에 대한 것이 아니라, 나 스스로에 대한 것이다. '무위적, 일상적 삶'의 회복을 위해, '유위적, 비상한 삶'을 살아야 하는 비극성이 바로 공자가 생각하는 지사(志士)의 삶 속에 깃들여 있는 모순이다.
  여기서 공자는 비극적 현세에 개입하기를 촉구한다. 그것이 끝내 일상성의 회복이 될지는 운명(命)이지 확신하지는 못한다. 다만 분명한 사실은 그 정치적 투신은 스스로 역사와 사회로부터 담지한 공공의 행위이기 때물일 뿐, 어떤 이로움이나 남의 눈때문은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여기서 유가적 앙가주망, 그 정치적 개입행위는 "안 되는 줄 알면서도 행하는" 비극성을 잉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무불가(無不可)의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정신이 다시금 무가(無可)라는 부정의 정신 속으로 내림(來臨)하지 않는 한, 무가(無可)의 세계는 기껏 야만/자연으로의 회억이며 그것은 리얼리즘을 무시한 좌파의 몽상적 사유이거나 자기 위모적인 마스터베이션(masturbation)에 불과하고 만다. 말하자면 그것은 극좌적(極左的) 이기성이다.
  공자의 무불가(無不可)의 세계는, 은자들의 무가(無可)와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즉 횡으로 맞서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무가(無可)를 끌어안고 뛰어넘는 것(包越)이다. 즉 공자는 무가(無可)의 세계를 그윽이 내려다보고 있다는 자기인식, 자기 위상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라는 '법어'에 깔려 있는 공자의 속내이다.


<한글세대가 본 논어 2> 444~445쪽, 공자, 배병삼 주석, 문학동네

  대학교 시절 선배가 나를 가리켜 '낙관적 비관주의자'라는 평을 내린 적이 있다. 참으로 애매모호한 평이었다. 아직도 나는 그 선배가 왜 내게 그렇게 평했는지를 온전하게 알지는 못한다.(다만 되돌아본 그때의 모습으로 대략적인 짐작을 할 뿐이다.) 당시에는 그 알쏭달쏭한 평에 대해서 별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아니,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해도 그것은 인상비평 정도의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의 내 모습을 그떄의 평과 견주어 보면, 저 평어를 내 모습에 쓰기는 부적절해 보인다. 적어도 내가 추구하는 모습에 견주기에는 말이다. 지금의 내가 추구하는 나의 모습은, '비관적 낙관주의자'일 것이다.
  그렇다면 저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앞 부분의 '낙관적/비관적'은 현재 세상을 대하는 자신의 관점 혹은 인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당시의 나는 현재 내 삶이 썩 나쁜 것은 아니라 여기고 즐거이 살아가고 있었다. 비하여 지금은 내 삶과 세상의 모습에 대해서 모순을 느끼고 불만과 안타까움과 좌절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뒷 부분의 '비관주의자/낙관주의자'는 자신의 궁극적인 지향점 혹은 이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당시의 나는 결국 세상은 모순으로 가득차 있어서 해결할 도리는 없으며, 그러므로 현실에 대한 참여보다는 현실을 살짝 비켜서는 삶을 원하고 있었다. 굳이 거기에 현실참여를 더해야 한다면 직접적 방법보다는 간접적 방법으로, 행동보다는 말로, 정석적인 서술법보다는 풍자와 조롱과 비꼼으로 대응하는 방법론을 원했다. 지금의 나는 어떠한가? 세상이 모순에 가득하다는 인식 자체가 달라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위 글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것이 생겼다. 결국 언젠가 세상은 달라질 것이고, 내 노력에 의해 아주 조금이나마 세상이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믿음이 생긴 것이다. 거기에 덧붙여, 그 변화를 내 눈으로 봐야 한다는 집착이 사라졌다. 우공이산의 고사는, 그 집착을 버린 사람의 이야기라는 것을 얼마 전에 알아차렸다.
  그래서 지금의 나는 '낙관적 비관주의자'이고 싶지 않다. '비관적 낙관주의자'로 살아가고자 하며, 그 삶 속에서 '낙관적 낙관주의자'로 변할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자그한 희망을 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