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말한다. '윗사람이 벌을 주는 것은 운명이 본시 벌을 받게 되어 있기 때문이지, 포악해서 벌을 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실천한다면 왕된 자는 의롭지 못할 것이고 신하된 자는 충성스럽지 못할 것이고 아비된 자는 자애롭지 못할 것이고 자식된 자는 효성스럽지 못할 것이며 형된 자는 어른스럽지 못할 것이고 동생된 자는 공경스럽지 못할 것이다. 운명론을 고집하는 것은 악한 말의 근원이 되며 난폭한 사람의 도이다.
  그렇다면, 운명론이 난폭한 사람의 도리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옛날 상고시대 궁핍했던 백성들은 음식에는 탐욕스럽고 하여야 할 노동에는 나태하였다. 그래서 먹고 입을 물건이 부족해, 기아와 추위에 시달려야 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허약하고 무능하며 일을 열심히 하지 않은 것은 모르고, 자신들의 운명이 가난하게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시대의 폭군들은 자신들의 음란을 좋아하는 이목과 사악한 마음을 이겨내지 못하고 부모의 뜻을 따르지 않다가 나라와 사직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허약하고 무능하며 정치를 잘못하여 그렇게 된 줄은 모르고, 자신들의 운명이 나라를 잃어버리게 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묵자> 233~234쪽, 묵적, 박재범 옮김, 홍익출판사

  자신의 모습을 미리 정해 놓는 사람이 있다. '나는 이러이러한 사람이니까'라는 말로 자신의 위치를 정해 놓고서는, 그 위치대로만 살려고 하는 것이다. 가깝게는 '나는 찌질이니까'라고 하면서 자신의 '찌질이짓'을 정당화시키는 모습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모습을 누가 만든 것일까? 하늘? 운명? 아니다. 바로 나 자신이다. 나 자신이 나의 그러한 모습을 만들었다.  
  생각해 보면 '운명'이라는 단어는 무척 편리한 단어이다. 모든 책임을 거기에 떠넘기면 내가 편해진다. 어떤 일이 있어도 '그게 내 운명인가 보지.'라는 한 마디면 무척 간단하게 해결된다. 하지만, 언제까지 운명에 모든 것을 떠 넘길 것인가?
  그러나 위의 묵적의 언술에서 한 가지 거슬리는 부분이 있다. 묵적이 든 상고시대 백성의 예시는, 가만히 생각해 보면 지금의 세상에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 정치인들이 짐짓 국민들을 꾸짖으면서 설파하는 논리가, 묵적의 이 논리 아닌가. '자신의 게으름을 보지 않고 정부를 탓하는 무지한 국민들'이라는 논리는, 내 생각으로는 때로는 옳지만 언제나 옳은 논리는 아니라고 본다. A가 B라고 해서 B는 A일 수는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정부가 정말로 잘못했기에(폭군이 정치를 잘못했기에) 민생이 도탄에 빠지는 경우 또한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운명론'에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 자신이 처한 상황이 부조리함을 알았다면, 그걸 어떤 방법으로든 고쳐나갈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을 하지 않고 그저 방관만 한다면 이는 과연 잘 하는 행동일까? 정치가 부조리하다 느꼈다면,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어떻게 해도 결국은 바뀌지 않으니까'라면서 회피하는 것은 옳은 결정일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운명에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은 결국 자신이 처한 틀 안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고 난 뒤의 일 아닐까? 그러고 난 뒤에 비로소 '그게 내 운명인가 보다.'라는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내 속의 혼돈에 못 이겨 횡설수설하게 몇 자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