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도 머리를 깎아 변발을 했고, 장상과 대신, 여러 신하들도 머리 깎고 변발했으며, 일반 백성마저도 머리 깎고 변발했다. 비록 공덕이 은나라, 주나라에 비길 만하고, 부강하기가 진한 적보다 낫다고 해도, 사람이 생긴 이래로 머리 깎고 변발한 천자는 있지 않았다. 비록 육롱기나 이광지의 학문과 위희나 왕완, 왕사정의 문장, 그리고 고염무와 주이존의 박식함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한 번 머리 깎아 변발하고 보면 오랑캐일 뿐이다. 오랑캐는 개나 양이니, 내가 개나 양에게서 무엇을 본단 말인가?
(중략)

  성곽은 장성의 나머지요, 궁실은 아방궁의 찌꺼기일 뿐이다. 일반 백성들은 위진(魏晉)의 부화함이 있고, 풍속은 수나라 대업(大業) 연간이나 당나라 천보(天寶) 연간의 사치스러움이 있다. 중국이 망하매 산천은 변하여 비리고 누린내 나는 고장으로 변하고 말았다. 성인의 실마리는 인멸되어 묻혀서 언어조차 변화하여 야만의 습속을 따르게 되었으니, 볼 만한 것이 무에 있겠는가? 진실로 십만의 무리를 얻어 내달려 산해관으로 들어가 중원을 깨끗이 쓸어버린 뒤에야 장관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열하일기(熱河日記)> '일신수필(馹迅隨筆)', 박지원,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167~168쪽에서 재인용

  '청나라의 볼 만한 것'에 대하여, 앞 문단은 조선의 높은 선비[上士]가, 뒷 문단은 중간 가는 선비[中士]가 말하고 있다. 높은 선비는 청나라를 금수의 무리들로 여겨 거기에 볼 만한 뜻있는 것이 없다 일갈하고, 중간 가는 선비는 그들의 풍속이 음탕하고 졸렬하고 사치한 것만 모방하여 참됨이 없다고 외친다. 선비의 높고 중간감의 차이는 그들을 금수로 보는가 인간으로 보는가의 여부이겠다. 그렇다 해도 선비들이 보기에 청나라는 결국은 신성한 중원을 어지럽히는 하찮고 기고만장한 무리들이라는 것은 다를 바 없다. 낮은 선비[下士]가 기와 조각과 똥 부스러기를 뒤적거리며 그 곳에서 쓸만한 것을 보고 있을 때, 그들은 곧은 대의를 입에 담는다.
  높은 선비와 중간 가는 선비가 어찌 옛 조선에만 있으리오. 우리 주변에서도 그들의 곧고 아름다운 행적은 계속 들려오고 있다. 상대방의 낮음을 금수로 여겨 욕하며 그들의 비난을 들으면 금수에게 물어뜯긴 양 분노하는 높은 선비들과, 상대방의 졸렬함을 통렬히 비웃고 그들의 비루함과 허술함을 비난하여 이죽거리는 중간 가는 선비들의 곧디 곧은 행적을 그대는 듣지 못했단 말인가. 그들이 자신의 뜻을 높이 세울수록 주변의 하찮은 오랑캐 무리들은 그 행적을 병자의 것이니, 혹은 정신으로만 승리를 구하니 운운하며 비난한다. 이 어찌 통탄할 일이 아니란 말인가!
  그러나 나 같은 하찮은 선비의 말류에 있는 자가 그들의 준엄하고 통렬한 행적을 보며 본받아 따르려 하니, 내장이 꼬이고 입술이 파드득거리어 입에서 끽끽거리는 된 엄소리만 나올 뿐이다. 아! 하찮도다, 나의 뜻이여! 나는 그저 높고 중간 가는 선비들이 비난하는 오랑캐의 기왓장과 똥무더기를 뒤지며 그 속에서 화씨의 옥이나 찾을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