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미국의 이민자 노동 제도는 노예 제도가 인기를 끌지 못하는 듯 보이는 이유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노예 제도는 보이는 것만큼 그렇게 성행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다만 알아보기 힘들게 변형된 형태로 이뤄진 것이다. 불법 이주 노동자들은 연한 계약 노동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듯하다. 경찰의 눈을 피해 가며 일터에서 자신의 권리도 주장하지 못하는 불법 이민자들은 다른 노동자들과는 다르게 고용주에게 신세를 지고 있는 입장이다. 합법적인 이주 노동자라고 해도 그중 일부는 대체 일자리 모색을 금지하는 비자 요건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현재 일자리에 구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설득력 있는 답은, 평균적으로 노동자들이 너무 저렴해서 굳이 노예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일부 근로자들, 예를 들어 은행가 또는 벌이가 좋은 기술을 갖춘 여타의 전문가들은 높은 임금을 받는다. 그러나 연방 최저 임금은 30년 전보다 낮아졌다. 게다가 국제화 떄문에 제조업자들은 값싼 노동력을 풍부하게 제공받게 되었다. 2010년 3월, 베트남 정부는 월 최저 임금을 73만동(40달러에 못 미치는 액수)으로 올렸다. 노예들도 이보다는 싸지 않을 것이다.


<모든 것의 가격> 178~179쪽, 에두아르도 포터, 김영사

  노예가 없어진 이유는 인권에 대한 의식 각성 때문인가? 아마 그럴 것이다. 그러나 그 이유 뿐만은 아닐 것이다. 보이는 노예에서 보이지 않는 노예로의, 혹은 노예에서 노예보다 더 싼 노동자로의 전환 역시 그 원인이라는 주장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경제학의 잣대는 상당히 냉혹해 보이지만(그리고 실제로도 그런 것 같지만), 세상을 보는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세상에 한 가지 단순한 이유만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얼마나 있을까? 하나의 시점만으로 세상을 보는 것은, 세상에 대한 해석 속에 오류가 생길 가능성을 감수해야 한다는 말일지도 모른다. 항상 자신의 앎과 배움을 되돌아보고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