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라트 슈나이더가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을 때였다. 밖에서 들리는 외침소리에 일이 중단되었다. 콘라트 슈나이더는 잠시 책상에 가만히 앉아 도대체 무슨 일이기에 단지의 엄한 규율이 흐트러졌을까 생각해보았다. 잠시 후 콘라트 슈나이더는 창문 쪽으로 걸어갔고, 밖을 내다본 순간 평생 처음으로 절망이라는 말의 의미를 알았다.
(중략)
  모래 가장자리를 따라 난 좁은 길에 이르렀을 떄 라인홀트는 이상한 예감에 사로잡혀 걸음을 멈추고 말았다. 라인홀트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땅에서 바다, 다시 바다에서 땅을 둘러보았다. 라인홀트는 잠시 후에야 하늘을 볼 생각을 했다.
  순간 라인홀트 호프만은 알았다. 콘라트 슈나이더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경쟁에서 뒤졌다는 사실을. 더구나 라인홀트는 그 뒤쳐짐이 두려워하던 것과는 달리 몇 주나 몇 달 차이가 아니라, 수천 년 차이로 뒤졌다는 것을 알았다.
 


<유년기의 끝> 14~15쪽, 아서 C. 클라크, 정영목 옮김, 시공사
 

  이 소설의 도입부를 보면서 느끼는 아득한 감정은, 그 뒤로 이어지는 내용으로 몰입하게 하는 훌륭한 장치이다. 우리가 미지의 존재를 처음 맞닥트리는 순간의 감정이 아마도 정말 이러하리라.
  생각해 보면 우리가 지구상의 (거의) 모든 인류와 만난 것은 불과 수백년도 채 되지 않는다. 기술의 발전으로 비로소 지구에 사는 이러저러한 사람들의 모습을 우리 머리 속에 넣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제 케냐, 라싸, 툼북투, 부에노스 아이레스, 태원, 오사카, 이스트본의 사람들은 우리의 인식 속에서 그렇게까지 먼, 혹은 그야말로 미지의 존재는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옆에 있는 사람조차도 때로 무척 낯설다는 감정을 느끼곤 한다. 그때 느끼는 미시감(未視感) 때문에 공포와 경악을 느끼는 때도 있다. 심지어는 내가 나 자신을 알지 못한다는 고백 또한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지 않은가. 
  과연 우리는 서로를 얼마나 받아들일 수 있을까? 낯익은 것과 낯선 것을 모두 받아들일 만큼 열려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