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6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6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년 병신년(丙申年)은 '원숭이의 해'다. 원숭이는 다른 어떤 동물보다 사람과 모습이나 행동이 흡사하기 때문에 친근함을 느끼면서도, 그로 인해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재주 많은 사람을 '원숭이'에 빗대 이야기할 만큼 원숭이는 영리하고 민첩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속담처럼 자기 재주만 믿다가 순간의 실수로 낭패를

​볼 수 있는 가능성도 공존한다.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는 매년 10대 트렌드 키워드의 첫 글자를 조합해 그 해의 띠 동물이 되도록 작명하고 있는데, 2016년의 키워드는 바로 'Monkey bars'다. 어린이 놀이터에 있는 '구름다리'를 영어로  Monkey bars라고 하는데, '원숭이가 구름다리를 넘듯 신속하고 현명하게 무사히 건너, 안정된 2017년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을 담은 키워드'(p. 8)다. 거기에 오방색 중 '붉은 색'에 해당하는 2016년은 그래서 '붉은 원숭이의 해'이다. 책 표지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활용해 디자인한 것이 눈에 띄는 책이다.

Monkey bars에 해당하는 2016년의 키워드를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플랜 Z', 나만의 구명보트 전략 / 과잉근심사회, 램프증후군 / 1인 미디어 전성시대 / 브랜드의 몰락, 가성비의 약진 / 연극적 개념소비 / 미래형 자급자족 / 원초적 본능 / 대충 빠르게, 있어 보이게 / '아키텍키즈', 체계적 육아법의 등장 / 취향 공동체 이다. 2016년의 10대 트렌드가 만들어진 배경에는 몇 년째 지속되고 있는 경기침체와 전방위적인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개인화 매체인 SNS, 계속되는 사건사고에 대한 사회적 트라우마가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는 불안과 불신이 작용하고 있다(p.10)고 밝히고 있다. 여기에 인간의 변하지 않는 본성이 더해졌다.

다르게 생각하면 위의 10가지 키워드는 조금만 관심있게 들여다보면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다. 모두가 조금은 알고 있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내용을 '키워드'로 묶어버린 그 솜씨를 일품이라 하겠다. 여기에 신한카드 빅데이터센터와 협업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의 정량적 기법이 가미되어 트렌드 조사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확보했다. 신문 기사를 보듯 다양한 그래프와 표를 통해 한 눈에 들어오게 본문을 작성해 신문의 경제면을 읽는 듯 간결한 구성이다. 다만 정부 정책과 신문 기사를 토대로 내용을 작성하다 보니 내용 자체가 '정부와 기업에 친화적'일 수 밖에 없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