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사랑이었네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6년 한비야의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를 읽고 삶에 조그만 변화가 생겼다. 당시 육아에 전념하던 나는 '일을 다시 시작하면 아동 후원을 시작하자'고 결심하게 된 것. 그리고 2007년 시작한 아동 후원을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바람이 있다면 후원 아동을 한 명 더 늘리고 싶다. 하지만 즉각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한 명 더 후원했다가 중단하는 일이 생길까 마음 졸이는 소심증(혹은 핑계) 때문이다.

 

두 번째로 만난 한비야는 여전히 씩씩하고 활기가 넘친다. 시원시원하고 큰 목소리에 고민도 잘 들어주는 어느 동네에나 존재하는 윗집 언니처럼 느껴질 정도다. 이처럼 '거리감을 느낄 수 없는' 한비야를 대중은 좋아하고 닮고자 한다. 그녀의 책이 여전히 잘 팔리고, 그녀가 하는 말과 행동이 화제가 되는 이유다. 그녀의 책을 모두 읽고 열렬히 사모하는 팬은 아니지만, 그녀의 생각과 행동에 고개를 끄덕이는 독자로서 <그건, 사랑이었네>는 한비야를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책을 읽기 전에 '이제껏 여행기나 구호활동에 대한 책만 썼던 한비야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낸 계기가 무엇일까. 대외적인 직함을 버리고 '한비야'라는 날 것 그대로의 자신을 내보이는 게 쉽지 않은 결정이지 않았을까'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이런 궁금증은 서문에서 바로 풀렸다. 서문에서 한비야는 '자기의 속내를 가감 없이 보여주며 나를 가깝게 느끼는 독자들에게 가진 것 중 제일 좋은 것만 주고 싶고 가슴 밑바닥에서 나오는 가장 진솔한 얘기만 들려주고 싶다'(7p)고 말한다. '결국 세상을 향한, 독자를 향한, 자신을 향한 '사랑''이 이 책을 쓰게 된 이유인 것이다.

 

'우리는 누군가의 기도로 살아간다'는 챕터를 읽을 때, 눈물샘이 터져버렸다. 잊고 있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기 때문이다. 내 할머니는 교회를 참 열심히 다니셨다. 그 덕에 나도 한때나마 교회를 열심히 다니던 나일롱 신자였다. 할머니는 새벽기도부터 수요예배, 구역예매, 토요예배, 일요예배를 다 다녔을 정도로 열혈 신자였다. 그렇다고 할머니가 성경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그런 신자는 아니었다. 돌아가실 때까지 한글을 깨우치지 못한 할머니였으니 말이다. 그런 할머니가 통성기도(소리내어 하는 기도)를 할 때면 '우리 손녀 OOO을~' 시작으로 가족 이름을 한 명씩 호명하곤 했다. 가족 이름을 하나씩 모두 부르며 기도를 하고 나서야 눈을 뜨던 할머니가 생각나 눈물샘이 터진 것이다. 현재의 나를 만든 50%는 할머니의 기도 덕분이라 믿는다. 현재 종교인은 아니지만 '우리는 누군가의 기도로 살아간다'는 글귀에 깊은 공감을 느꼈다.

 

이 책을 발표하고 한비야는 공부를 하러 미국으로 떠났다. 그녀가 떠나기 전 저자와의 만남 뿐 아니라 강연회, 방송출연 등 '한비야 붐'이 일었다. 당분간 그녀를 볼 수 없다는 아쉬움도 작용했으리라. 한국인이 사랑하는 그리고 닮고 싶어하는 멘토 중 하나인 한비야, 그녀가 돌아왔을 때 '그녀의 지도'는 더욱 넓어져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의 지도 또한 넓어져 있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