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좌표 -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똘레랑스'라는 단어를 알게 된 건 홍세화의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를 읽고나서다. 당시 난 교복을 입은 학생이었는데, 10년도 넘게 훌쩍 지나고서야 그의 두번째 책을 만났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일어난 어떠한 일로 망명자가 되어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는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빠리에서 택시운전사로 사는 일 그리고 '한국'이라는 나라를 내부의 시선이 아닌 외부의 시선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책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홍세화'라는 이름과 책 제목을 기억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002년 영구 귀국한 이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그가 펴낸 책에 선뜻 손이 가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생각의 좌표>라는 눈에 띄는 제목과 스르르 훑어본 본문을 읽으니 사지 않을 수 없었다. 2010년 1월의 이야기다.
눈사람이 녹아 형체를 잃고 푸른 잎이 퇴색하는 계절이 되어서야 책을 다시 들었다. 몇 장을 읽다보면 자꾸 울컥하는 마음에 책을 내려놓기를 반복해야 했다. 그만큼 느리게 읽어야 하는 책이고 생각하면서 읽어야 하는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계속 질문이 떠오른다. '나는 어떠한가?', '그의 질문에 나는 당당할 수 있는가?', '그들과 나는 다르다고 생각하는가?' 생각이 생각으로 이어져 꼬리를 문다. 그래서 다시 책을 내려놓고 책장에 꽂아둔다. 몇 달만에 책을 들어도 여러 번의 망설임이 필요하다. 내게 <생각의 좌표>는 그처럼 괴로운 책이다.
자신을 돌아보는 건 불편한 일이다. 길에서 노숙자와 거지를 보는 것 또한 불편하다. 외면하고 싶은 현실이고 보고 싶지 않은 미래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에서 '내 생각의 주인이 누구인가'를 끊임없이 되묻는다. 성장과 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그 외의 다른 의견은 불온한 생각이라고 밀어붙이는 정부와 대중매체에 동조하는 내 생각의 주인이 누구인지를 질문한다. 스스로를 노동자라고 생각하지 않는 노동자에게 질문한다. '당신의 그런 생각은 대체 어디에서 왔나요?'라고 말이다.
내 생각의 주인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불편하고 귀찮은 일이지만 돌아봐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보다 돈을 중요하게 여기는 세계에서 사람을 보기 위한 방편이다. 용산 참사에서 쌍용차 파업에서 천안함 사태에서 우린 무엇을 보고 듣고 느꼈는가. 그리고 우리가 보고 듣고 느낀 그 모든 것이 진실이고, 그에 대한 생각은 과연 내 생각이 맞는건가? 약자인 내가 약자의 편보다는 강자의 논리에 휩쓸려 떠다니는 건 아닌가 하고 돌아봐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내가 지금도 기억하는 훈화가 있다. 월요일 아침이면 지리하게 이어지는 교장의 훈화는 개그 소재로 종종 이용될만큼 그 말이 그 말처럼 특징이 없고 지루하기로 악명이 높다. 다른 초등학교에 무슨 일 때문인지 방문을 했는데 당시 교장이 아닌 교감이 교단에 섰다. 그러면서 했던 말이 '왜 공부를 하느냐'는 질문이었다. 아이들은 여기저기에서 대답을 했는데 대부분이 '잘 살기 위해서'라고 답했었다. 그리고 다시 질문이 이어졌다. '왜 잘 살고 싶은가요?'라고 말이다. 아이들이 대답이 없자 교감이 했던 말은 '사람은 누구나 행복해지고 싶어한다'면서 '그래서 잘 살기를 바라는 것 또한 행복해지고 싶어하는 마음이다'라는 내용으로 기억한다.
누구나 행복해지길 바란다. 그리고 행복해지려고 노력한다. 이런 노력에 우선 순위는 돈보다는 '자아실현'에 두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돈을 쫓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이 행복해지는 세상을 꿈꾼다. 같은 맥락에서 부의 재분배와 무상교육, 무상의료를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주의자의 과격한 발언이 아닌 내가 가진 것을 뺏기는 것이 아니라 약자를 위한 최소한의 보호막으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지난 지방 선거에서 교육감과 교육위원 선거가 처음 치뤄졌다. 당시 가장 많이 나왔던 말이 '무상급식'이었다. 학교에서 부모의 돈과 상관없이 굶는 아이가 없어야 한다는 것에 많은 사람이 공감했기에 수없이 회자되었다고 본다.
우리는 무언가를 제대로 알기 전에 외면하거나 다 아는 냥 비판해왔다. 기존의 체제를 비판하는 의견은 불온한 생각이라 매도해왔다. 과연 그것이 불온한 생각인가? 사람을 사람답게 여기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생각은 아닐런지 시선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런 젊은 그대에게 저자가 말한다. 자신을 돌아보라고, 그리고 '나는 내 생각의 주인인가?' 고민하라고.
인간은 편함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이나 특히 정의와 진실의 추구는 필연적으로 불편함을 요구한다. - 144p.
서민 대중의 무지와 무관심은 중립이 아니다. 오늘 한국의 젊은이들 사이에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 유행처럼 자리 잡고 있다. 정치가 혐오스러우니 정치를 혐오하고 정치에 관심이 없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기도 한다. 이런 태도에는 '백로야, 까마귀한테 가까이 가지 마라'는 식으로, 혐오스러움에 물들지도 않겠다는 뜻도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정치 혐오는 실상 혐오스런 정치를 계속 혐오스런 상태로 있게 하는 강력한 정치적 힘이다. 젊은이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혐오스러운 정치를 바꾸지 않는다면 누가 바꿀까. 우리가 바라는 사회를 남이 대신 만들어주지 않는다. 젊은이들의 정치 혐오나 탈정치는 간단명료한 명제조차 인식하지 못할 만큼 주체적 시민의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드러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 182p.
그들에게서 인간성을 느끼기 어렵다고 말할 젊은이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인간을 사랑하는 한, 인간의 삶을 사랑하는 한, 인간다움과 인간의 존엄성을 되찾으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 20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