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같은 신화 - 그림에 깃든 신화의 꿈
황경신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책을 펼치자 '안녕하세요?' 라고 그녀가 말한다. '프롤로그에 인사부터 하는 작가가 있었던가?'라는 생각을 하던 중에 '당신이 나의 신화가 되고 내가 당신의 신화가 되는 이야기'이니 겁먹지 말라는 당부가 이어진다. '황경신'이라는 이름만 들어봤을 뿐, 책은 처음인 독자에게 첫 문장부터 친절한 작가. 친절한 작가가 쓴 신화 이야기, 거기에 아름다운 그림이 더해져 눈도 즐거운 책이다.
신화를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신화'로 검색해 수십권의 책을 케이크 먹듯이 매일 맛있게 먹은 뒤 내놓은 한 권의 책. 월간지 <PAPER>에 실렸던 16개의 글을 다듬고 넓혀 독자에게 보내는 한 권의 편지이자 책이 만들어졌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인물에게 마음을 담아 편지를 보낸 작가는 신화가 가진 텍스트의 힘을 마음대로 반죽하고 모양을 만들어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이 이야기는 여기부터 저기까지가 정확한 이야기고 그 외는 다 거짓이야' 라는 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렇기도 하고 저렇기도 하니 그건 읽는 사람 마음대로 해석해!' 라고 말하는 이야기다. 그러니 재료는 정해져 있지만 나오는 음식은 누가 만들었냐에 따라 그 맛과 모양이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림 같은 신화>는 황경신이 읽고 만들어 낸 그런 신화 이야기다.
신화에서 '악녀'로만 기억하는 메두사와 메데이아에 대한 시선이 새로웠다. 메두사는 '머리에 뱀이 우글거리고 그녀를 보기만 해도 돌이 되기에 그런 악녀는 영웅에게 죽어야만 한다'고 단순히 생각했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메두사가 무슨 잘못을 했던가? 예쁘다고 자만해서 신의 노여움을 받은 죄? 그래서 머리카락은 뱀이 되고, 그녀를 보기만 해도 돌이 되는 사람들을 피하려고 멀리 떠났건만 누군가의 '영웅담'을 위해 죽어야만 하는 그런 존재. 자신이 죽는 지도 모른 채 죽어가는 그녀를 '희생양' 이라고 말하는 그런 시선, <그림 같은 신화>는 나의 신화가 당신의 신화가 되는 이야기지만, 당신의 신화에 내가 꼭 동의할 필요는 없다. 그녀의 이야기에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던 그건 읽는 사람의 몫이다. 작가의 시선을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다. 다만 이야기할 뿐이다. 이런 작가의 시선이 신선했고 다정하고 감성적인 문체 덕에 이야기 속으로 쉽게 걸어갈 수 있었다.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이 익숙하면서도 새롭게 보였다. 작가가 화가의 감정에 이입해 또 다른 이야기를 풀어냈기 때문이다. 책표지로 쓰인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판도라>도 책을 덮은 뒤 새롭게 다가왔다. 조심스럽게 상자를 열어보는 판도라, 그 안에는 '나만의 신화'가 가득 들어있을 것만 같은 그런 느낌이 스쳤다. 이제 자신만의 신화를 열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