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성 지식의 탄생 - 지식채널e는 어떻게 태어나고 진화했나
김진혁 지음 / 마음산책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감성 지식의 탄생>은 부제에서 보여지듯 '지식채널 e가 어떻게 태어나고 진화했는지'를 글로 보여주는 책이다. 김진혁PD는 국내에선 파격적이라 할 수 있는 5분짜리 지식 프로그램을 만든 사람이다. 조금 긴 광고같기도 하고 짧은 드라마같기도 한 [지식채널 e]는 자막과 음악, 자료화면 만으로도 얼마든지 새로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었고, '지식'이라는 의미를 담기에 이른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이후는 시청자의 사랑을 담뿍 받고 있는 그런 TV프로그램이다. 인기가 높은 몇몇 에피소드는 인터넷 상에서 상당수의 조회수를 자랑하며 지금도 이리저리 퍼날라지고 있다.
이런 TV프로그램을 책으로 엮은 <지식 e>는 각 권마다 구성에 변화를 주면서 TV와는 다른 맛을 선보였다. TV프로그램보다는 책으로 더 많은 [지식채널 e]를 읽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좋았던 건 참고문헌이었다. 자막과 영상이 어우러져 5분 동안 강렬한 인상을 줬던 TV와 달리 책은 조금 더 깊이있고 다른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가 가능했던 이유는 참고문헌의 힘이었다. 그 중 몇 권은 찾아 읽고 '세상에 이런 책도 있었구나'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이러니 [지식채널 e]를 낳은(?) 김진혁PD의 책에 대한 기대는 하늘을 찌를 듯이 높았다. 하늘을 찌를 듯한 기대는 책을 읽으면서 점점 찌그러지기 시작했다. 책 내용에 문제가 있었다기보다 '내가 생각했던 내용이 아니라서 실망했다'는 표현이 맞을 듯 싶다.
바로 앞에 읽은 책에서 요가나 배드민턴 치는 법을 글로 표현하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 작가도 있지만, '그게 과연 재미있을까'하는 게 내 생각이다. 재미있기보다 지루하고 갑갑할 것 같다. <감성지식의 탄생>을 읽으면서 느꼈던 게 '갑갑함'이다. 방송PD는 용어까지 써가면서 열심히 제작 비화를 설명하지만 이런 용어가 낯선 독자는 어리둥절하다. 책의 뒷부분에는 방송에서 못다한 이야기를 화면으로 어떻게 구성하고 표현하고 싶었는 지 풀었는데 차라리 방송으로 보고 싶은 심정이었다. 아마 방송PD나 방송작가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매우 흥미로운 책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책 만드는 것에 관심 많고 다양한 지식을 알고 싶어하는 나와 같은 독자에게는 딱 <지식 e>까지만 적당한 듯 싶다.
지식을 직관으로 바꿨던 '지식채널 e'는 EBS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데 일조했다고 생각한다. 우선 EBS가 유아나 학생들만 보는 채널이 아니라 어른도 즐겨볼거리가 많은 채널로 격상시켰고, 타 공중파보다 덜 파격적이라 생각했는데 그 어떤 공중파보다 파격과 변화가 어울리는 채널이 EBS라는 생각을 들도록 했다.
그런 프로그램을 탄생시킨 김진혁PD는 3년 동안 하고 싶었던 이야기, 하지 못했던 이야기가 무척이나 많았으리라. 그런데 그런 이야기를 읽은 나는 왜 갑갑함을 느꼈을까? 방송을 보고 느낀 점은 각자의 몫이다. 책을 읽고 느낀 점 또한 각자의 몫이다. 그런데 그런 각자의 영역에 만든 이가 나타나 '난 이렇게 만들었으니 이렇게 느끼길 바란다'고 말한다. 난 저렇게 느끼고 싶은 데 말이다.
위에도 밝혔듯이 내가 기대했던 내용을 벗어났기에 이런 저런 군소리를 늘어놓았을 뿐, 책 내용 자체가 나빴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리고 이 리뷰를 쓰기 전 인터넷 서점에 올라온 리뷰가 칭찬 일색인지라 뭔가 딴 이야기를 하고 싶은 청개구리 기질이 발동했다고 여겨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