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느끼는 낙타
싼마오 지음, 조은 옮김 / 막내집게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내가 그 길 위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과 사건들은 세상 어느 길에서도 있을 수 있는 평범한 일들이다. 특별한 의미도 없고 기록해 둘 만한 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불교에서는 '백년 인연이 쌓이면 배를 같이 타고, 천년 인연이 쌓이면 부부가 된다'고 하지 않았던가. 나와 악수를 나눈 손 하나하나, 찬란한 미소 하나하나, 평범한 말 하나하나를, 어떻게 옷깃을 스치는 바람처럼 무심히 흘려보내고 잊어버릴 수 있겠는가? - 31p.

 

<흐느끼는 낙타>는 국내에서는 두 번째이자 마지막인 싼마오의 산문집이다. <사하라 이야기>를 읽고 싼마오를 사랑(?)하게 된 뒤, 그녀의 두번째 산문집은 일찌기 구입을 마친 상태였다. 이미 일 년도 전에 구입한 책을 왜 이제서야 읽었느냐 묻는다면 아끼느라 그랬다고 답할 수 밖에 없다. 게으른 독서가의 서투른 핑계처럼 들리겠지만(사실 그런 이유도 있긴 하다) <흐느끼는 낙타>를 읽으며 한 장 한 장 줄어두는 게 어찌나 아쉽던지. 현재 국내에서 그녀의 다른 책이 언제 나올 지 모르는 상황이다. 싼마오의 꾸임없고 화려하지 않아 가슴에 더 깊이 스며드는 그런 문장을 만날 수 없는 아쉬운 현실에 일 년여를 묵힌 것이다. 제일 맛있는 부위는 나중에 먹으려고 남겨놓는 어린이의 심정으로 말이다.

 

<사하라 이야기>에서는 싼마오와 호세가 결혼해 사하라 사막에서 정착하고 살아가는 이야기가 주였다. <흐느끼는 낙타>에서도 여전히 이기적이지만 그래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사하라위족 이웃들과 살고 있는 싼마오와 호세가 있다. 하지만 당시 서사하라의 불안한 정세가 글 속에 묻어난다. 총 8편의 글이 실린 <흐느끼는 낙타>는 앞의 5편은 서사하라에서 뒤의 3편은 서사하라를 떠나 스페인령의 카나리아 제도에 정착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사막을 사랑한 싼마오가 그녀를 위해 사막으로 먼저 떠난 호세와 함께 사랑하는 사막을 등지고 나와야 하는 상황이 아쉬웠다. 표제작이기도 한 '흐느끼는 낙타'에서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는 서사하라의 국내 상황과 서사하라를 둘러싼 나라 간의 긴장 상태가 싼마오의 주변 인물들을 통해 비극적으로 나타난다. 사막을 대표하는 낙타가 흐느끼는 서글픈 상황은 여전히 어지러운 서사하라의 상황을 보니 끝나지 않았나 보다.

 

싼마오의 글을 읽다 보면 '구름처럼 가볍고 바람처럼 떠돌지만 결코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강하고 있는 자에게는 강하지만, 어리고 약한 이들에게는 한없이 약한 싼마오.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 생각하지 않지만 싼마오호세가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사람에 대한 애정'에 기반한다. 길에서 만난 인연 하나가 소중하고 글을 모르는 할머니가 직접 작사한 시가 세상에 남겨지지 않는 사실에 안타까워 하는 싼마오의 마음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카나리아 제도 중)고메라 섬의 휘파람 말은 아직까지 전해지지 않았을 지 모르지만 그런 말이 있었다는 사실은 싼마오를 통해 전해진다. 이웃 나라간의 전쟁으로 사람들은 사막을 떠났지만 그 곳에서 낙타와 양을 키우고 옆집 일에 참견을 잘하는 이웃들이 살았던 사실은 싼마오의 글에 남아있다.

 

싼마오호세는 이 땅에 없지만 여전히 사막을 동경하고 바다를 사랑한 사람들로 내 가슴에 영원히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