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n the Road - 카오산 로드에서 만난 사람들
박준 글.사진 / 넥서스BOOKS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길 위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느낄까? '카오산 로드'라는 장소보다는 카오산 로드에서 '만난 사람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하며 사람을 말하고 있는 여행기다. '박준'이라는 여행 작가의 너무나 유명한 책. 이제서야 만났지만 늦게 만나고 일찍 만나고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니까.
EBS에서 방송한 동명의 프로그램을 책으로 엮었다. 방송을 보지 않은 상태라 뭐라 평하긴 힘들지만, 여행 작가들의 이런 작업들이 현재도 꾸준히 여행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하고 책을 낼 수 있는 원동력이지 싶다.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와 장소를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일. 혹자는 그렇게 해서 그 장소에 관광객이 모여들고 고유의 문화나 분위기가 파괴된다고 하는데, 사람이 이렇게 많은 세상에 결국 알려지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는 장소가 몇 곳이나 되겠는가? 저 바다 깊은 심해나 남극점이라면 모를까. 세상 구석구석을 알리는 게 여행 작가에게 부여된 소임이라 생각한다. 직접 가지 못하고 이렇게 집에서 책으로 느끼며 위안을 삼는 독자를 위해서라도 말이다.
추정하건대 '카오산 로드'라는 장소가 부각된 시점은 박준의 프로그램과 책이 나온 이후가 아닌가 싶다. '장기여행, 배낭여행, 태국의 카오산 로드'라는 단어가 일반인 사이에서 회자된 시점 말이다. 이미 오랜 여행 경험을 축적한 여행자라면 이야기가 다르겠지만. 책 속에 커다란 배낭을 맨 여행자가 가득하다 보니 유독 독자에게 어디론가 떠나고 싶게끔 충동하는 책, 왜 당신은 떠나지 않느냐고 채근하는 책이다. 읽는 동안 나 또한 그랬다. '장기여행 어려울 게 없잖아. 난 지금 여기 앉아서 무엇을 하고 있는거지'라는 생각을 안 해 봤다면 거짓말이다. 하지만 여전히 집에서 몸 사리며 나약한 핑계를 대는 중이다. 커다란 배낭을 멘 카오산 로드의 여행자들이 부럽지만 말이다.
자신을 포함해 15명의 여행자를 만나 이야기하고 영상과 글로 만들었다. 작가가 만난 이들은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몇 년씩 여행 중인 장기여행자들이다. 여행은 여름 휴가 며칠에서 유럽의 경우 한 두 달이 전부인 줄 알았던 세상이 갑자기 변한 느낌이다. 이렇게 오랜 시간이 여행이 가능한가에서부터 일상으로 돌아오는 일이 힘들지 않을까 하는 오지랖스러운 걱정이 들 정도다. 그러나 그 누구도 여행을 일탈이라 말하지 않고, 무엇을 찾아서 떠났기 보다 일상에서 더 잘 살기 위해 여행을 한다고 말한다. 세상에는 나와 다른 사람, 나와 다른 세계에서 사는 이들이 너무나 많다. 책을 읽고 15개의 다른 세계를 만난 느낌이다.
'박준'이라는 여행 작가에게 내가 가장 기대하는 부분은 바로 인터뷰다. 그의 책을 두 번째로 보는 것인데, 첫 권에서 인터뷰가 가장 인상에 남았기 때문이다. 역시 그의 인터뷰는 남다르다. 트레이시아는 여행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내게 나눠주려 애썼다. 자기 인생의 보석 같은 걸 어떻게 갖게 되었는지 말하는 대신 그 보석을 아무렇지도 않게 나눠주었다.(272~273p) 라고 쓴 문장이 있다. 난 이 문장을 작가에게 돌려주고 싶다.
자신의 보석 같은 인터뷰를 책에 녹여냈다. 그리고 그런 인터뷰가 독자의 마음을 건드린다. 지금 떠나고 싶은 사람들에게 혹은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떠나기를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지금 당장 떠나라'고 다독이는 책. 그게 바로 이 책이 지닌 미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