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양장) - 故 김영갑 선생 2주기 추모 특별 애장판
김영갑 지음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제주의 무위자연과 오롯이 하나되어 살다가, 너무 일찍 떠나간 장인. 사진 작가 김영갑. '그 섬에 내가 있었네' 를 통하여 그를 만난다. 평생을 독신으로, 아니다. 보통 사람처럼 천수를 다 누리지 못하고 요절한 사람이니 '평생' 이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뭍에서 태어난 사람이 어느 날, 운명처럼 섬에 매료되어 이십 여 년을 제주의 절경에 동화되어 쉴새없이 셔터를 눌러 댄다. 사진을 찍다가 어느 때 사고를 당하여 죽을지 모르니 결혼을 하지 않았다는데 아무래도 사진이라는 작업에 올인하기 위한 예술가의 변명이지 않을까 싶다.삼백 예순 날을 똑 같은 장소에 매일 나가도 매일 다른 느낌이었다는 데 절대빈곤과 절대고독 속에서 그리고 절대고집으로 그는 사진찍기에만 매진한다. 빗 속에서, 눈보라 속에서, 바람속에서, 생명을 담은,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한 컷을 담기 위해 오름에서 섬으로, 바다에서 들판으로 그는 항상 분주하다. 그 동안 제주에서 찍은 사진의 필름값만 따져도 이삼 억은 넘을 정도라 하니 그의 작업량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도 남을 대목이다.
그의 마음에는 가족도 친구도 들어 올 자리가 없다. 스스로 먼저 그들을 외면하고 단절한다. 경제적으로 힘들었던 그는 다른 사람에게 부담이 되고 싶지 않았으며 자신의 궁핍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지도 않았다. 그의 가슴을 꽉 채울 수 있는 것은 오직, 사진 뿐이다. 쌀은 떨어져도 좋다. 하지만 인화지와 필름이 떨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을 얻기 위해 어떤 핀잔도 참으며 막노동 아르바이트도 서슴치 않는다. 필름만 얻을 수 있다면 말이다. 쌀 살 돈으로 인화지와 필름을 장만하고 허기진 속은 들판의 당근이나 고구마로 달랜다.
사진 전시회를 열때마다 찬사로 줄을 이었고 이제는 필름과 인화지 값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때 쯤 그의 몸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한다. 바로 루게릭 병. 카메라를 들 힘도 걸을 수 있는 힘도 점차 사라지고 그의 몸은 퇴화하기 시작한다. 3년을 넘기기 힘들거라는 의사의 말에 마냥 누워서만 죽음을 기다릴 수 없다. 창고 안에 가득한 사진을 그냥 곰팡이의 밥이 되게 할 수 없다. 어차피 정해진 삶의 시간이라면 절망을 털고 일어나자. 그래서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의 8칸 짜리 폐교를 빌려서 갤러리를 꾸미기 시작한다. 물론 주위 사람들의 반대가 극심했다. 도시도 아니고 구석진 시골에 있는 갤러리에 사람들이 오겠느냐고 오직 병치료에만 전념하라고. 그러나 그는 귀담아 듣지 않고 손수 공사에 착수한다.
그의 갤러리 '두모악' 두모악은 한라산의 옛 이름이라고 한다. 2002년에 드디어 갤러리의 문을 여는데 의외로 호기심 어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그리고 현재는 제주도에 가면 한 번쯤 들러야 하는 제주도만의 명소가 되었다. 그는 6년 정도 투병생활을 하다가 2005년, 안타깝게도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뼈는 두모악 주변에 뿌려졌다고 한다. 이렇게 멋지게 운영되고 있는 갤러리의 모습을 그가 살아서 함께 하고 있다면 얼마나 흐뭇할까. 하늘은 열정의 예술가를 아무래도 못견디게 시기했나보다.
책을 다 읽고 맨 뒷장을 보니 갤러리 입장할인권이 붙어있다. 절취해 오는 사람에게 할인이 적용된단다. 나는 거침없이 가위질을 한다. 수첩에 넣어가리라. 당당히 절취한 이 할인권을 내고 직접 그의 사진들을 감상하리라. 참, 그의 사진에는 제목이 없단다. 제목을 달아 놓으면 보는 사람의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하여 작가는 제목없는 사진을 전시한다고 했다. 그의 독특한, 그다운 배려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