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뤼노 라투르 마지막 대화
브뤼노 라투르.니콜라 트뤼옹 지음, 이세진 옮김, 배세진 감수 / 복복서가 / 2025년 3월
평점 :
한 번씩 생각나는 질문, 대의를 위해 감당해야 될 것들은 어디까지 용인되어야 하나?
철학 참 어렵다. 초반부는 단어가 너무 고차원적이라 무슨 말씀을 하시는 건지 도통 알 수가 없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는 것 같은데, 정치생태학이란 게 무슨 뜻이고 세계의 인류학이 먼 소리인지 무지해 너무 답답하다. 단어 하나가 품고 있는 거대하고 굉장히 함축적인 결과의 의미로 본다면 철학은 거대한 담론을 단어들에 담어 내놓는 액기스와 같다. 하나의 시처럼 고도의 이해력이 요구된다. 반대로 말한다면 일반인 친화적이지 못하는 이야기다.
이분 말대로 초연결 사회에서 정치 경제 환경을 분리해서 볼 수 없다는 말은 지극히 상식이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을 예를 들면, 미국의 GDP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을 예전 일본처럼 찍어누르겠다는 패권 경쟁, 거장 큰 소비시장을 가진 미국이 세계 경찰 역할을 하면서, 달러를 찍어내고 빚을 질 수밖에 없는 기축통화국의 위기를 돌파해 내려는 발악에 가까워 보인다. 각자도생의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을 해줬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감을 줄 수 있을 텐데, 그게 좀 아쉽다. 사회주의가 나쁜 것이 아니지만 그걸 교묘하게 권력으로 악용하는 계층이 문제인 것처럼, 동일하게 생태주의니 기후 위기를 외치고 있지만 같은 이유로 좋은 뜻이 희석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봤다. 이 책의 문제처럼 일반인 친화적인 요소가 부족하다. 계속 가이아와 생태를 거론하면서 지구의 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인간의 시간으로만 보는 것인가. 나는 그것이 불만이다. 어떤 확신을 가진다면, 틀릴 수도 있다는 것도 동시에 인정해야 된다.
——
지금은 아무도 자기가 속한 세계와 거리를 두고 있는 주체가 있다고 말할 수 없어요. -46p
이 세계를 인식할 수단을 확보하고 싶다면 이 세계를 기술할 장치부터 갖춰야 합니다. -77p
정치를 구할 수 있을까요? -115p
사실들은 희박하고, 과학적 발견은 정말 희소하지요. -130p
철학은 필연적으로 암중모색입니다. -17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