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고 정의롭다고 생각하는 것들. 진심으로 그게 의심의 여지가 없는 진리일까요? 이젠 우리 조금만 더 솔직하고 현실적인 이야기를 합시다. 불편한 진실이란 이 익숙한 단어 속에 진실이란,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것만이 아니라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포장하는 것’도 같이 들어가 있음을.우리는 증오하기 위해 증오를 한다. 그놈의 감정에 눈이 멀어 이성적인 사고방식은 정의로워 ‘보이는’ 최악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자기비판과 자기 의심은 어디로 가고 자신이 진리인 양 소속감에 도취되어 내편 네 편으로 나누어 비아냥거리기만 바쁘다. 마녀사냥은 이름만 바뀌었지, 없어질 수가 없다.우린 세상이 망하길 기다리고 있다. 온갖 사건 사고 뉴스들에 무슨 인생을 건 것처럼 우린 안줏거리가 필요하고 희생양을 찾아다닌다. 타인의 고통은 우리에게 위안과 안도감을 선사한다. 이어 자신의 비리는 선하고 작고 어쩔 수 없다는 합리화를 보고 있자니 토악질이 이어지고 분노만 차오른다. 속은 속물인데 끝까지 숨겨야 한다. 근데 숨겨질까? 자신도 모르게 속물은 튀어나올 수밖에 없다. 이 점을 인정하고 조금은 당당하게 솔직하게 스탠스를 잡아보아라. 이건 나한테도 하는 소리다. 허무주의에 허우적거리지 않길 나한테 바란다.다름을 인정하고 좀 더 실용적인 입장에서 회의를 품고 살자. 어용 지식인들 싸다구 날려버리자. 수긍하지 못한 이야기가 있더라도 이렇게 진솔하게 다가오는 책은 오래간만이다.——진실로 인간은 자유가 아니라 지배와 속박을 그리워한다. -53p그들이 외쳤던 아름다운 권리나 진보라는 것도 그 속내는 권력의 문제였다. -194p비판 없이 무조건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이 지식의 주체인 듯 착각하는 것이다(그렇게 지식의 도구가 되는 것이다). -19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