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이런 사람이 됐을까? - 굳게 믿었던 나라는 존재에게 던지는 질문
네시베 카흐라만 지음, 이은미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팔이 책들과는 결이 다른, 진정한 도움이 될 만한 심리학 서적, 진심이 묻어나는 자기계발서 그리고 힐링 에세이.

지식 자체가 치료제가 되진 못한다.
사례집을 좋아하진 않는데,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하는 내용들과 계속해서 해답이 아니라 질문들을 던지고 우리가 우리를 인식하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진짜 치료의 첫 단계라고 믿는다. 이 책은 사례집에 그치는 게 아니라, 질문을 함으로써 우리 자신을 제대로 보는 능력을 키워야 된다고 호소한다.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미드 하우스를 보는 듯한 기분이다. 휠씬 함축적이고 예리하며 마치 범죄소설 같은 재미까지 갖추고 있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진정성 폭발이다.

그러나 거의 이런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항상 자신에겐 엄격하고 부족하다고 하지만 정작 다들 능력자들이다. 허영심이 많고 진짜 능력도 부족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어디에 있는가. 이게 조금 불만이다.

——
이곳저곳에서 자기 발견, 자기 지각, 자기애 등의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12p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는 이런 틀에 박힌 소리들 너무 지겹다. 상당히 무책임하고 의미 없는 소리들이다.

두려움에 숨겨진 본래의 두려움 -75p
/정말 맞는 말이다. 우린 진정한 두려움을 감추려 두려움을 이용한다.

늘 그렇듯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인정하기'다. -78p
/인정하기란 정말 어렵고 험난한, 용기 있고 현명한 행위다.

매우 역설적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휴식을 취하는 데에는 종종 엄청나게 많은 힘이 든다. -193p
/쉼이란 것도 결코 공짜가 아니다. 돈이 많이 든다.

두려움을 자기 자신의 일부로 간주하면 할수록, 이에 관한 분석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257p
/잘못된 신념이 오래될수록 체념이 되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