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ipcc 1차보고서부터 코로나까지. 30년. 앞으로의 30년은?
1990년 8월 말 IPCC는 기후변화에 관한 첫 번째 「1차 평가종합보고서」를 발간했다. 851 당장 탄소 배출을 중단하더라도 온실가스의 누적효과 때문에 기후가 안정되려면 수십 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충격적인 경고가 이때 공식적으로 등장했다. 그 후 보고서에서 우려한 바가 계속 입증된 역사가 되풀이되었다. 보고서가 나오고 정확히 30년 뒤, 2020년 8월 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팬데믹의 쓰나미로 멈춰 서 있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30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 국회미래연구원과 중앙일보가 펴낸 「2050년에서 보내온 경고」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등장한다. 저는 2019년 2월에 태어난 올해 31살의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2050년 8월 1일 오후 2시, 서울 도심 온도가 섭씨 43도까지 올랐습니다. 게다가 사흘 연이어 찌는 듯한 폭염입니다. 오존경보는 이제 일상화가 됐습니다. (···) 매년 여름철이면 주변 고령의 어르신들 부고訃告가 많이 들려옵니다. 물론, 살인적 더위 때문입니다. 더 심각한 것은 앞으로도 해가 갈수록 더 더워질 거라는 겁니다.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이미 돌이킬 수 있는 임계점을 넘어버렸습니다. 852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되었을 때 한국은 감축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비부속서 개도국으로 분류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