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주택을 둘러싼 논의는 고령화와 인구감소, 소자녀화 등 당시 일본에 불어닥친 급격한 사회적, 인구학적 변동에 의해 추동되었다는 점에서 과거와 달랐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건축가들은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서 전후 주택의 규범을 근본적으로 해체하고자 했다. 첫째, nLDK로 수렴되지 않는 주택 평면의 다양화, 둘째, 공유 공간의 확보를 통한 공동체성의 함양, 셋째, 도시를 향한 개방성 확보가 그것이다.

SANAA의 주택은 기능주의에 근거해 엄밀하게 구획된 nLDK 평면을 해체하고, 초경량 철판과 가느다란 기둥, 투명/반투명/다공성 재질의 벽면을 도입해 방과 방, 주택과 도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유연한 경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nLDK의 대안이라면 방과 방, 방과 거실의 경계를 없앤 원룸 타입이 고려되지만, 매화숲 집은 그 반대의 방식을 택한다.

모리야마 하우스는 독신자들이 공동 거주하는 일종의 하숙집이다. 니시자와는 상자 형태의 주택 안에 방과 거실, 부엌을 배열하는 대신, 각각의 주거 기능을 여러 개의 작은 볼륨의 건물로 나누어 배치한다.

SANAA가 표준화된 nLDK를 해체함으로써 다원화된 주거 양식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했다면, 야마모토 리켄은 주거 공간 내 공용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택의 밀실화를 극복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야마모토의 호타쿠보 집합주택(1991)은 기존의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구분을 넘는 중간적 개념인 ‘공용 공간’을 도입한 공영주택이다.

호타쿠보 집합주택에서 야마모토는 건물을 일괄적으로 남향으로 배치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 두 동을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함으로써 동 사이의 외부 공간을 중정으로 확보했다.

야마모토가 ‘공용 공간’의 개념을 도입해 주거 공동체의 활성화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면, 아틀리에 바우와우는 도시에 대한 주택의 개방성을 강조했다

아틀리에 바우와우를 일약 국제 건축계의 스타로 올려놓은 것은 실제 건물 설계가 아니라, 『메이드 인 도쿄』(2001)와 『펫 아키텍처 가이드북』(2001)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도시 공간에 대한 일종의 인류학적 조사 프로젝트이다

건축가 하라 히로시는 1950년대 일본 지성계에 큰 영향을 끼친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 테제 「문학이란 무엇인가?」(1948)를 인용하며 "건축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그의 질문은 건축이 재난 복구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관한 실천적 차원의 고민을 넘어, 건축의 존재론과 사회적 역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촉구했다.

3·11 직후 건축계의 대응은 즉각적이고 적극적이었다. 재난 발발 불과 이틀 후부터 일본 건축학회가 재해조사부흥지원본부를 설치해 건조 환경의 피해 상황에 대한 전수 조사에 착수했다.

3월 말에는 이토 도요, 구마 겐고, 세지마 가즈요, 야마모토 리켄, 나이토 히로시(b. 1950) 등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유명 건축가들이 ‘기신노카이’(歸心会)를 결성하고 모금과 자원봉사를 통해 가설주택 단지에 집회소를 제공하는 〈모두를 위한 집〉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이러한 열의와 헌신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건축가는 정부 차원에서 진행된 공식적인 피해 복구와 부흥 사업에서 사실상 배제되었다.

재난 복구는 건축가가 아닌 정부와 건설업자들의 몫이었다. 건축가라는 존재가 자기표현에만 집착하고 정부 방침에 사사건건 반대만 하는 불필요하고 불편한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커뮤티니 케어형 가설주택의 대표적인 예로 도쿄대학 오쓰키 도시오 교수팀이 동 대학 고령사회종합연구소와 함께 제안한 헤이타시의 가설주택을 들 수 있다.

개별 건물의 설계자를 넘어 일본 사회의 다양한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에까지 개입하는 생활 개조자이자 사회 개혁가로서의 건축가의 역할은 이토가 3·11 부흥에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쓴 『‘건축’으로 일본을 바꿔라』의 제목에서 선언적으로 나타난다

무지(MUJI)의 예술 감독이기도 한 하라 겐야는 하우스 비전 개막식에서 일본을 비극적인 재난 국가가 아니라 고령화, 저성장, 인구감소, 재난 등 전지구적인 문제를 다른 나라보다 먼저 경험한 성숙 국가로 묘사했다

고령화나 인구감소, 재해를 단순한 재앙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로 파악하고, 성숙 사회에 맞는 상품과 기술, 산업을 선도적으로 발굴함으로써 인류의 미래 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하우스 비전은 일본뿐 아니라 중국과 동남아시아 각국을 포함한 범아시아 건축 네트워크를 표방하며 "거대한 아시아의 시대"를 내세웠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온 디자인 파트너스(ON design partners)의 니시다 오사무(b. 1976)와 나카가와 에리카(b. 1983)가 설계한 요코하마 아파트(2007)다.

독신인 젊은 예술가 네 명이 함께 거주하는 요코하마 아파트는 필로티 위에 올린 2층을 사적인 주거 공간으로 확보하고, 개방된 1층 중정은 다목적의 공유 공간으로 활용해 주민 간의 친교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여전히 그 피해 규모조차 가늠할 수 없는 방사능의 위험에 노출된 피해지의 실상은 외면된 채, 과거 히로시마가 그랬던 것처럼 후쿠시마도 일본 부흥의 상징이 되었다.

하디드는 인터뷰를 통해 문제의 본질이 자신의 디자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이 일본의 상징물을 짓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는 일본 건축계의 배타성에 있다고 성토했다.

일본 건축가로서는 예외적으로 하디드를 지지했던 이소자키는 애도문을 통해 공개적으로 조의를 표했다.

건축사학자 이가라시 다로는 도쿄 올림픽 주경기장을 둘러싼 논란과 구마의 당선안의 핵심을 ‘일본회귀’(日本回帰)에의 열망으로 읽어냈다.

목조 주택의 특징인 개방적인 툇마루와 흙바닥은 근대주택의 폐쇄성과 고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졌다.

구마의 범아시아주의에는 은연중에 일본 중심주의가 자리한다. 일본이 아시아의 변경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심부 문화의 정수를 응축해서 보존한다는 식의 발언이 그러하다.

일본 건축가들이 전통으로부터 영감을 구한 것은 결코 새로운 일은 아니지만, 전통의 배타적인 우월성에 대한 강조는 21세기 들어 강화된 일본 사회의 배외적 민족주의 정서와 같이 간다.

‘작고’ ‘약한’ 일본의 목조 건축이 결국 ‘크고’ ‘강한’ 서구 모더니즘 건축을 능가하고 대체할 것이라는 구마의 주장에서 국내외적 위기 속에서 위축된 일본 건축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절박함마저 감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뮬라크럼이 도시의 새로운 현실이 된 상황에서 건축의 새로운 역할은 인간과 도시가 만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한다.

건축 평론가 다키 고지는 〈파오〉로 대표되는 이토의 1980년대 작업을 들뢰즈와 가타리의 급진적 사상의 맥락 속에서 "정치적, 권위주의적 제약으로부터 해방의 이미지를 갖는" 일종의 유토피아적 기획으로 평가했다

이토는 서구와 비서구, 일본과 아시아, 건축적 고전과 보통 사람들 주거 사이의 일체의 위계를 부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래 캡슐은 전체 메가스트럭처의 일부분으로 기능하는 데 반해, 이토의 ‘도시 로봇’은 프레임에서 떨어져 고립된 상태로 존재한다.

모체와 분리된 캡슐은 오로지 빛으로만 가득 찬 온전하게 무용한 공간이다.

나는 가짜 영웅주의를 싫어하고 자기 영웅화를 원치 않는다

「기쿠타케 씨에게 묻는다」에서 이토는 기쿠타케를 대신할 자신의 새로운 멘토로 미학적인 주택 설계로 유명한 시노하라 가즈오(1925-2006)를 언급했다.

시노하라는 수학의 카오스 이론을 인용하며 도시의 본질을 혼돈 상태로 규정하고, 건축가의 일이란 도시 전체에 인위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규모의 건물을 질서 있고 일관성 있게 디자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이야말로 "건축가의 사상과 조형의 전체 시스템이 응축적으로 표현"된 분야이며, 결코 도시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도시의 미래를 생각하는 출발점"이라는 것이다.

신주쿠 외곽 주택가에 자리한 U HOUSE는 복잡한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과 가깝게 지내며 애도와 치유의 시간을 갖고자 하는 건축주의 바람에 따라 외부로부터 차폐된, 고립되고 내향적인 공간을 지향한다.

중정을 둘러싼 U자형의 미분화된 긴 복도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과 그림자가 투사되는 빈 스크린 역할 외에는 아무런 기능을 갖지 않는다.

이들에게 도시는 상업주의와 관료주의로 얼룩진 부패와 타락, 카오스의 공간이며, 외부와 단절된 자족적인 소우주로서의 주택이 도시의 악으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사생활을 위한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다.

안도가 노출 콘크리트의 미적 가능성을 일관성 있게 탐색하며 외부와 차폐된 내향적인 건축을 지속한 것에 반해, 이토는 다양한 하이테크 재료를 도입한 가볍고 개방적인 건축으로 선회한 것이다.

이토는 1970년대를 지배했던 부정과 저항의 기획을 폐기하고, 대신 1980년대의 변모한 도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기로 했다.

즉물성과 표피성에 대한 이토의 감각은 샤넬, 루이뷔통, 구찌 같은 고급 브랜드명이 끝도 없이 나열되며 나른하고 매끈한 상품 세계에 대한 긍정과 욕망을 당대의 시대정신으로 포착한 『어쩐지, 크리스털』과 공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형 파티오는 근본적으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적 장치다. - P165

샴프라를 대각선으로 잘라낸 삼각형 집은 일반주택보다 4-5m나 더 길었는데, 가우디는 이 부분을 비워 두 집이공유하는 커다란 파티오를 집어넣었다. 엄연히 존재하는 샴프라의구조적 문제를 오히려 새로운 유형의 주택을 만들 기회로 삼은 것이다. - P166

밀라 주택의 파티오는 그 관계를 체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하나의 축을 제공한다. 길에서 대문을 통해 들어온 거주자는 건물한 가운데 밝게 빛나는 커다란 파티오를 발견하고, 그 한편에 위치한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자신의 집으로 들어간다. - P167

집 안에서도파티오는 가정생활의 중심이다. 공적 공간인 도시, 매개 공간인 집합주택의 안뜰, 사적 공간인 자신의 집을 관통하는 명확한 인식의 축이생긴 것이다. 거주자는 건물 안에서 어느 한 순간도 자신의 위치와방향을 잃지 않는다. - P167

에이샴플라에 건물을 짓는 것은 ‘하나의 입면을 짓는 것‘을의미한다. - P169

엄밀히 말해 모두를 놀라게 한 가우디의 새로움은 밀라 주택자체라기보다는 너울대는 입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 P169

가우디는 밀라 주택 건설이 한창이던 1909년 성가정 성당 경내에임시 학교를 지으면서 밀라 주택과 유사한 굴곡진 입면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기후 조절‘ 효과를 언급했다. - P169

성가정성당 학교의 입면은 밀라 주택처럼 들어가고 나오는 벽면의 굴곡에 따라 입면에 그림자를 드리우며, 그 곡면을 따라 설치된 창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 P169

입면이 평편한 보통 건물은어느 곳에도 그림자를 드리우지 않을 뿐 아니라, 모든 창이 같은 방향을향하기 때문에 태양빛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 P170

가우디는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부드러운 곡면으로 처리되었지만밀라 주택 입면에는 여전히 고전의 기둥과 주두, 엔타블러처에 해당하는부재들이 남아있다. - P171

미묘한 흔적으로 남은 고전의 요소들은 주택 입면의굴곡을 따라 함께 요동하며 활기찬 리듬을 만들어낸다. - P171

"단순한 형태가 웅장한 것에 걸 맞는 특성이며, 풍성한 장식이작은 덩어리의 고유한 특성이라는 사실은 일반적인 상식이다. 웅장한덩어리는 언제나 그 자체로 하나의 숭고한 장식 요소였다. 예를 들어파르테논 신전의 직경 2m에 이르는 드럼에 무슨 장식을 더 바랄 수있겠는가?" - P171

파라볼로이드, 하이퍼볼로이드, 헬리코이드는 언제나 자신에게 비치는 빛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그 고유한 색조가 선사하는 풍부함은 여타 장식이나 조형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P172

밀라 주택이후 성가정 성당에서 그는 거의 모든 부재를 룰드 서피스 기하학으로만들었다. - P172

단순한 입체에 드리워질 부드러운 색조, 그리고 빛과 그림자의 리듬을 웅장하게 드러내는 것이야말로 이 주택의 진정한 장식 - P172

지중해 태양빛이 가우디 특유의부드러운 입체를 쓰다듬는 가운데 어느새 돌 건축의 단단함은 누그러지고 미묘한 선들,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내는 리듬, 움푹한 것과 불거진 것 등의 대비가 드러내는 균형과 조화로 풍부해진다. - P173

그는 건축가를 "종합하는 사람 hombre sintétice 즉, 사물이만들어지기 전에 그 조합을 볼 수 있는 사람"이라 설명하며, 건축가의‘볼 수 있는‘ 능력과 ‘조형성‘에 방점을 두었다. - P184

건물의 평면과 단면, 구조체계가 과학적 실험과 합리적 판단기준을 통해 도출된 이성적 결과물 - P184

너울거리는 입면과 살아 움직이는 듯한 구조물의 활기와역동성은 새 시대의 감각을 유감없이 드러내는 감성적 결과물 - P184

이성과 감성, 추상과 구상, 살아있는 것과 살아있지 않은 것 양쪽의균형을 맞추려는 시각은 그의 건축 전체를 관통한다. - P185

그는 리시크라테스의 기념비와 코린티안 주두를 보며 "이렇듯 추상적인 질서가 지배하는곳에서는 그와 대비되는 자연의 것으로 대비를 이룰 수밖에 없다."고기술했다. - P185

다른 이들은 이 기념비에서 고전 건축의 추상적 질서를보았지만 그는 ‘자연의 것‘ 즉, 추상적 질서와 대비를 이룬 구상적인조각들이 이루어낸 조화의 아름다움에 주목한 것이다. - P185

"조화 harmonia가 곧 균형 equilibri을 뜻하기에 이쪽이든 저쪽이든 한쪽에 치우친 것은 조화로울 리 없고, 당연히 아름다울 리 없다." - P1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56년 개최된 CIAM 회의에서 팀텐(Team X)의 젊은 건축가들은 이동성과 유연성, 성장과 변화를 테제로 내세우며 경직된 모더니즘의 대안을 제시했다.

개인의 자유와 자발성, 다양성이라는 시민사회의 이상 속에서 모빌리티를 강조했던 스미슨과 달리, 모빌리티에 대한 단게의 관심은 사람과 물류, 정보의 흐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에 있었다.

단게의 관심은 동시대 건축가인 프라이스나 뉘베느시와는 달리, 개인의 자유와 유희, 해방보다는 국가라는 거대한 조직을 중심으로 한 국토개발 및 관리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는 단게에게 정보화사회 건축의 모델을 구현할 절호의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박람회를 기점으로 국가와 건축이 미래의 비전을 공유했던 시대는 종언을 고했다.

일본 건축이 오랫동안 염원했던 ‘국제적 동시대성’을 메타볼리즘이 획득한 데는 영국의 건축 평론가 레이너 배넘을 비롯해 서구 연구자들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메타볼리즘은 ‘유토피아’와 ‘파국’으로 정의되는 냉전 시대의 독특한 양가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1950년대 후반 CIAM의 헤게모니가 붕괴된 국제 건축계의 동향

1950년대 일본 건축계에 등장했던 전통과 정체성에 대한 논의, 즉 일본 전통논쟁의 영향

패전과 폐허를 딛고 막 고도성장기로 들어선 전후 일본 사회의 특수한 맥락

흔히 메타볼리즘은 메가스트럭처 운동의 아시아 분파로서 논의되지만, 이들의 디자인 방법론은 크게 메가스트럭처적 접근과 그룹 형태(group form)적 접근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메가스트럭처는 단순히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개개인의 자유를 극대화하면서도 혼란한 도시에 질서를 부여하는 시스템 구축에 관한 고민

구성 형태가 기능주의에 근거한 전형적인 모더니즘 도시계획

메가 형태는 도시의 여러 기능을 거대한 프레임에 집적시킨 메가스트럭처

그룹 형태는 부분과 전체의 구별과 위계가 없는 보다 유연하고 역동적인 도시 모델

메타볼리스트들의 공통된 관심은 도시 인프라가 집적된 인공대지에 관한 것

1960년 초반 거대한 인공대지가 메타볼리즘 건축을 대표했다면, 1960년대 중반부터는 캡슐이 메타볼리즘의 아이콘으로 부상했다.

오직 건축가와 디자이너만이 위기의 순간에 낙관주의자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이야말로 인류가 모두 사라진 후에도 오래도록 남을 무언가를 창조하는 이들이기 때문이다. … 우리는 폐허 속에서 새로운 창조로 이어질 무언가를 만든다.

가와조에는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게 된 미래 사회에서 건축가는 조개처럼 가만히 꿈꾸는 일만이 남아 있다고 고백한다.

‘조개’의 메타포는 전체주의와 전쟁에 대한 저항과 함께, 일본인을 전쟁의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로 보려는 전후의 정서를 나타낸다

고마쓰와 가와조에가 그린 최후의 풍경은 전후 사회가 누리고 있는 풍요와 성장이 영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로 읽힌다.

메타볼리즘의 인공대지 구상에서 방재(防災)는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였다.

〈고토만 계획〉을 평한 가와조에 노보루는 "지면이 가라앉아도 이 광대한 플랫폼은 물에 뜰 것이다"라고 설명하며, 그 생존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강조

지면에서 수 미터 떨어진 플랫폼 위에 마을 전체를 올려놓은 〈농촌도시〉는 범람의 순간에 마지막 보루가 된다

구로카와는 우주 시대의 생존 논리를 정보화사회의 생존 투쟁으로 치환했다.

버크민스터 풀러의 지오데식(geodesic) 돔

영국의 건축그룹 아키그램 역시 캡슐의 공기막 구조물을 통해 환경오염과 핵전쟁 등으로 인한 위기로부터 개인의 안전과 자유를 지키는 데 관심

케네스 프램튼은 캡슐 구조물에 대한 열광을 최소 주거에도 못 미치는 잔인할 정도로 좁은 공간에서 나르시시즘적인 제스처를 연기하는 데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방공호 건설 붐은 단순히 냉전 체제가 조장한 불안과 공포의 산물로만 볼 수는 없다. 방공호는 잉여의 공간과 물자를 가능케 한 전후의 풍요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했다.

프랑스 철학자 기 드보르는 전후의 방공호 붐을 핵전쟁의 공포와 소비사회의 풍요가 공존하는 냉전 체제의 산물로 설명했다.

메타볼리즘 캡슐과 방공호는 풍요로운 소비사회의 꿈과 암울한 생존 건축으로서의 측면이 공존한다는 점에서 둘 다 ‘유토피아’와 ‘파국’으로 정의되는 냉전 시대의 양가성을 체현한다.

‘신메타볼리즘’을 표방한 젊은 건축가 후지무라 류지(b. 1976)는 건축가의 도시적, 사회적 역할을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메타볼리즘의 DNA를 계승하는 길이라고 여겼다.

전위와 국가 권력의 대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합이라는 도식 속에서 박람회 건축이 보여준 다양한 비전과 실험은 오랫동안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박람회 총괄 건축가를 맡은 단게는 만국박람회의 목표가 정보화사회에 적합한 건축과 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했다.

오사카 만국박람회는 바로 이 미래학 붐의 중심에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