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은 한국사 - 왜 한국사는 세계사인가?
안형환 지음 / 김영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힘들고 가슴 아픈 고난의 한국사가 아닌 세계 속에서 문화를 선도하는 자랑스러운 한국사를 다루고 있다. 중국 산둥반도의 신라방부터 삼국통일 이후 중국에 남겨진 고구려인의 후예 라후족과 백제 유민들의 고장인 백제향, 파미르고원을 넘은 고선지와 제濟왕국의 강력한 통치자 이정기 한국사 최고의 전성기인 8세기 신라시대, 11세기 고려시대, 15세기 조선시대의 세계 한국사와 한국사 속에서 쉬는 세계사를 되짚어 보고 우리 민족의 자부심을 일깨워주고 있다.

 

책은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8세기 신라 역사를 2부는 한국사상 가장 역동적이었던 11세기 고려 역사를 3부는 개방과 실험으로 최전성기를 이룬 15세기 조선 역사를 마지막 4부에서는 한국사 속의 세계인 리더들을 다루고 있다.

 

한국의 저력을 한국인들의 개별적인 능력, 역사 속에서 보여준 뛰어난 외래문화 습득 능력과 개방성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한국사에서 개방성을 거론하면 의아해하는 사람들이 많겠지만 오늘날 패쇄적인 한국사를 기억하는 것은 모두 조선 중기 이후의 한국사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 P. 7

 

유목 기마 민족의 강건한 기풍과 열린 문화는 훗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기반이 됐다. 해양 민족의 진취적인 문화는 신라가 8 9세기에 해양 국가를 이루는 토대가 됐다. 바로 신라인의 핏속에는 유라시아 대륙을 누볐던 유목 기마 민족과, 동지나해를 넘나들던 해양 민족의 넘치는 개방의 정신이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피를 바로 우리가 이어받았다.  – P. 66

 

세종 시대가 끝나고 점차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사림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조산 사회는 문을 닫기 시작했다. 명의 영향 아래에서 대외적으로 더욱 패쇄성이 강화됐고, 대내적으로도 유교적 사농공상 士農工商의 계층관리 확립돼 사회적인 신분 이동이 예전처럼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사회 분위기가 개방적, 발전적, 진취적 성향보다는 패쇄적, 고식적, 보수적 성향으로 흘러 새로운 문화와 문물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었다.  – P. 191

 

한국사에서 가장 번성한 시대의 공통적인 특징은 개방성이다. 지금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시대이다. 과거와 같이 닫힌 정책으로 홀로 발전하기는 어려운 시대이며, 개방을 통한 외교의 중요성이 어느 시대보다 강조되는 시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