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메라와 앞치마 - 타인과 친구가 되는 삶의 레시피17
조선희.최현석 지음 / 민음사 / 2015년 11월
평점 :

책의
저자는 사진과 요리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유명인이다. 유명 연예인의
화보 촬영으로 잘 알려진 조선희 포토그래퍼와 각종 요리 프로그램의 단골 출연자인 최현석 셰프가 이 책의 저자이다.
저자들은 17가지의 공동의 주제를 정하고, 토크쇼와 같이 음식에 얽힌
이야기를 서로 주고 받는다. 매 주제마다 이야기에 어울리는 요리 레시피와 함께 완성된 음식 사진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 받기까지의 지나온 시간 속에 담겨있는 솔직 담백한
이야기와 포토그래퍼의 작품 같은 사진 그리고 유명 셰프가 소개해주는 레시피까지 비슷한 음식 재료에 얽힌 서로 다른 삶의 이야기를 엮어놓은
에세이다.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추억을 먹는 것이다. 어떤 음식들은 객관적으로 맛있지는 않지만 누군가에게는
어릴 적에 먹던 추억의 맛과 비슷해서 맛있다고 느껴져 더욱 별미로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나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음식을 함께 먹는 것, 추억을 함께 쌓는
것, 그리고 지나간 추억을 함께 나누는 것. 그것이 내
삶의 별미다. – P. 85
사진
작가와 셰프, 각자의 분야에서 프로로 불릴 만큼 자신의 일에 대한 열정과 정열적인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최고의 자리는 누구에게나 쉽게 주어지지 않으며,
편하게 전해주는 음식 이야기에서도 자신의 일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 그리고 진정한 프로의 모습을 보았다.
세상
모든 것은 변한다. 돌과 청동과 하늘도 변하고 영원한 것은 없다.
단지 변하지 않는다고 믿고 싶을 뿐이다. 내 사진 사랑이 변하지 않는 다고 믿고 싶을
뿐이다. ··· 사진은 나 자체이며 그것에 간혹 질리는 것은 나 자신에게 질려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나 자신에게 질렸다 한들 스스로를 버릴 수 없어 다시 다독이고 고치고 배우고
내려놓듯이, 사진이라는 대상에게 또한 그러하다.
– P. 103
요리는
미각, 후각, 시각이 모두 중요하지만 나는 셋 중 어느
하나가 아니라 감각이 펼치는 감성적인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요리를 먹는다는 행위는 먼저
음식을 바라보고 질감을 터치하고 씹고 삼키고 뇌로 맛을 음미하는 복합적인 절차를 거치는 것과 같다.
그렇지에 좋은 요리사라면 테크닉 면에서는 언제나 정답을 만들 수 있겠지만, 그보다 음식을
먹는 상대의 감정과 취향을 살피는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P.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