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란 무엇인가 - 하버드대 최고의 심리학 명강의
브라이언 리틀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관계를 맺는데, 그 과정에서 성격이라는 요소가 큰 역할을 한다. 수많은 학자들이 성격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 방법을 연구·개발했는데, 성격은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사람마다 부모에게서 받는 유전자가 다르고 지낸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개개인의 성격도 다르다.

 

 

책을 통한 성격 심리학은 상대적인 심리학이 아닌 자아의 심리학이다. 나의 성격을 찾고, 나의 기준에서의 타인 의식, 나의 주도적 삶, 나의 성격과 건강, 내가 되어야 할 창조적 인간 등 총 10개의 Chapter는 자아의 심리학이다. 성격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여러 가지 사례들을 통해 성격 심리학의 분야를 쉽게 소개하고 있다.

 

 

Chapter 1 첫인상을 의심하라 : 타인을 바라보는 방식은 어떻게 내 삶을 바꾸는가

Chapter 2 서른 살이 되면 성격이 석고처럼 굳어지는가 : 고정된 성격 특성

Chapter 3 왜 나는 가정과 직장에서 전혀 다른 사람이 되는가 : 나답지 않은 행동에 대하여

Chapter 4 양파와 아보카도 : 타인을 의식하는 정도가 삶에 미치는 영향

Chapter 5 삶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하여 : 주도적 삶의 모순

Chapter 6 강인하고 건강하게 : 성격과 건강

Chapter 7 나 홀로 영웅의 허상 : 창조적인 사람은 행복할까

Chapter 8 나는 어디에 있는가 : 성격과 장소의 궁합

Chapter 9 목표가 행복과 불행에 관여하는 방식 : 목표 추구와 행복

Chapter 10 서로 다른 두 자아와 잘사는 법 : 자아 성찰

자신의 성격 파악의 필요성과 제대로 된 성격 파악을 통해, 성격에 맞는 삶을 찾아야 하며, 창조적 인간으로서의 목표를 추구하고, 결국에는 자아 성찰의 단계에 이르는 방법을 알려준다.

 

나와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인식의 특수 안경인 개인 구성개념부터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성격의 여러 특성과 목표, 우리가 몰입하는 것, 그리고 일상에서 개인의 전후 사정, 즉 개인적 맥락을 살펴보려 한다. 그러면서 이런 요소들이 삶의 방향을 설정할 때 어떻게 도움이 되고, 그 요소들을 이해하면 과거와 미래의 삶의 흐름을 고찰하는데 어떤 도움이 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 P. 7 들어가는 말

 

사람들이 행동의 원인을 어디에서 찾는가에 대한 연구에서 많은 자료로 증명된 사실 하나는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설명할 때 성격에서 원인을 찾는 반면에 자신의 행동은 자신이 처한 상황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점이다. - P. 17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성실성, 친화성, 신경성, 개방성, 외향성(CANOE :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Neuroticism, Openness, Extraversion) 이라는 다섯 가지 주요 요소로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다는 성격 전문가들의 공통적 의견을 반영한다. - P. 53

 

성격에는 내적 현실과 외적 현실이 공존한다. 내적 현실은 우리가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특정 시기에 우리가 추구하는 개인 목표가 무엇 인지로 이루어진다. 외적 현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타인에게 보이기 위해 우리가 만들어 내는 이미지로 이루어진다. 바로 이 두 현실이 만나는 지점에서 성격이 만들어지고, 도전받고, 재구성된다. - P. 79

 

삶에서 새로운 모험에 전념하기 전에, 일단 자신에게 솔직해져야 하고, 우리가 조언이나 충고를 의뢰할 사람에게도 솔직하게 말해 달라고 해야 한다. 착각은 흔히 타인과의 결탁에서 나오는 때가 많은데, 타인은 우리의 장기적 삶의 질 향상에 힘을 쏟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P. 161

 

창조적 모험을 추구하다 보면 엄청난 만족감이 생길 수 있고, 그것이 삶의 절대적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결국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다 보면 건강과 대인관계가 희생될 수 있다. 종국에는 이처럼 삶의 다양한 측면 중 어느 것에 가장 큰 의미를 두느냐 하는 선택의 문제가 된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열정을 따르라. 하지만 그러다 보면 독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하라. - P. 226

 

 

인간 본성과 다양한 삶의 질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성격학의 개인적이고 좀 더 은밀한 영향을 살펴볼 틀도 제공한다. 우리의 일상적 행동 중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명확히 알게 될 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을 조금 덜 당혹스럽게 조금 더 흥미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