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한번 써봅시다 - 예비작가를 위한 책 쓰기의 모든 것
장강명 지음, 이내 그림 / 한겨레출판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 번역서를 읽다 국내 문학작가의 책을 읽으면 내가 참 책을 빨리 읽는구나 하고 착각하기 쉽다. 사실은 작가의 문장력이 독자가 쉽게 자신의 글에 빠지게 만드는 것인데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기자 출신인데, 현실과 추상적인 허구 사이에서 밸런스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눈에 띄는 것을 제외하고는 애초에 처음부터 문학을 해 온 사람인냥 글을 참 맛깔나고 쉽게 쓴다. 긴 문장도 없고, 이야기에는 자신의 스토리가 항상 자리한다. 그래서 딱히 재미있는 주제가 아닌데도 페이지 넘어가는 속도가 빠르다.

작가는 이 세상에 저자가 많아지길 바라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책을 평가하는 행동도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나도 이점을 생활 속에서 쉽게 느낀다. 책을 좋아해서 나도 SNS에 짧은 독자평을 남기는 것을 즐기는데, 이 사실을 알게된 사람들로 부터 ‘좀 부끄럽지 않냐?’, ‘책 많이 읽으시나봐요?’ 의 반응은 들어 봤지만, ‘그 책 좀 더 자세히 알려주세요. 왜 그렇게 맘에 들었는지...’라고 물어보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작가는 이 책의 서문에서 얘기하듯이 사람은 창의력을 발휘할 때 삶의 에너지를 느끼고, 그렇지 못한 지루한 일을 할 때에 지친다. 회사일도 그렇다. 내가 비록 틀릴 수는 있겠지만, 내 의견을 담은 보고서를 쓸 때와 윗 사람들이 쓰라는데로 보고서를 쓸 때 느끼는 감정은 확실히 다르다.

남의 창작물에 내 생각을 더 해 평가해 보고, 나도 내 창작물을 만들어 보는 것은, 둘 다 내 인생을 보다 보람있게 만드는 창의의 활동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