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곰배령, 꽃비가 내립니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여기는 곰배령, 꽃비가 내립니다 - 세쌍둥이와 함께 보낸 설피밭 17년
이하영 지음 / 효형출판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자연을 벗삼아 그속에서 소박한 삶을 꾸려가는 인생을 동경하고 한번쯤 꿈꾸어 본다. 봄이 오면 꽃이 피고 여름이면 시원한 계곡물에 몸을 담가도 보고, 가을에는 황금들녘과 함께 수확의 기쁨을 만끽하며 겨울에는 연기가 피어오르는 따뜻한 집안에서 눈이 소복히 내리는 것을 바라보는 그런 삶이란 상상만해도 입가에 저절로 미소가 피어난다. 그러나 이런 삶을 우리는 상상만할 뿐, 선뜻 그 꿈의 생활을 현실로 만들지는 못한다. 산좋고 물좋은 건강한 자연의 삶이란 결국 이 편리한 현대문명과는 거리를 두는 삶이라는 것을 우리 자신들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신선한 공기가 주는 상쾌함 대신 매연의 탁한 냄새를 기꺼이 선택하여 주어진 댓가로 이 편리한 문명을 이용하고 있으니까. 우리는 과연 지금 당장 읽고 쓰고 있는 이 인터넷 환경조차 포기해야할지도 모를 곳에 선뜻 갈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런 문명의 혜택과 자연을 벗 삶아 사는 자신의 꿈을 기꺼이 맞바꾸는 사람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인 이하영씨 같은 사람들이 그런 쪽에 속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오랜 꿈이였던 전원생활을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명도시 서울의 삶을 포기한 당찬 여인네의 모습은 참 신선하고 독특했다. 보통 전원생활을 위해 도시에서 시골로 향하는 사람들은 나이가 지긋하거나 아이가 없어서 아이들의 교육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이들 보통인데, 이하영씨는 오히려 태어난지 얼마 안 된 무려 세쌍둥이인 아이들을 데리고 전원생활을 선택했다는 점이 내눈에는 참 특이해 보였다. 하긴, 이하영씨의 삶에서 특이하다는 단어 자체가 무의미해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기준역시 자신의 꿈을 위해 선뜻 용기를 내지 못하는 나의 시선에서 내려진 판단이니까 말이다. 

이 책을 통해 엿본 산좋고 물좋고 아름다운 산골의 삶은 우리의 예상대로 소박하고 담백했다. 자연을 벗삼아 자연과 더불어 사는 곰배령 사람들은 자연에서 나는 것들을 필요한 만큼만 채취하고 이용하며 자신들의 소소한 삶을 꾸려나갔다. 자연에게 한없이 일방적으로 얻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는 만큼 자연을 보살피며, 자신들의 고마운 마음을 되돌려 주는 그들의 소박한 마음은 읽는 이의 마음도 따뜻하게 만들어 주었다. 깊고 깊은 산속에 사니 부족한 것도 많고 아쉬운것도 한두개가 아닐테지만 자연을 벗삼아 사는 이들에겐 그런 것들은 아쉬워 보이지 않았다. 현대인들이 좋아라 마시는 커피대신 구수하고 몸에 좋은 차를 마시면 되고, 시장에서 파는 과일대신 산에서 직접 채취한 과실을 먹으면 되니 몸에도 좋고 정신도 얼마나 맑고 상쾌해지겠는가? 곰배령의 그들이 참 부러웠고, 이곳의 삶을 놓지도 못하며 그들을 부러워하기만 하는 내가 문득 부끄러워졌다. 

보통 책을 처음보면 책의 제목과 표지에 적힌 책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읽으며 머릿속에 책의 내용을 한번 그려본다. 그리고 그런 과정에서 책에 대한 기대감이 생겨난다. 그 기대감이란 책에 대한 선입견의 다른말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머릿말을 읽으며 이 책에 대해 기대한 내용이 있었다. 자연의 곁에 사는 소박한 삶의 대한 일상사와 에피소드들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그것이였다. 그리고 머릿말은 그런 내 기대를 충족시켜 줄 것 같았다. 하지만 내 예상과 달리 이 책의 내용은 자연에 대한 예찬과 저자자신이 자연을 받아들이는 삶에 대해 눈을 뜨게되며 경험하게 된 이야기들이 주로 적혀 있었다. 물론 자신의 일상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도 있었지만 그런 이야기들은 내 기대를 충족시켜줄 만큼 존재하지 못했다.  

저자가 국문과를 나왔기 때문일까? 평범한 사람의 경험담이라는 소박한 글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이 책의 문체는 픙경과 내면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특히 그 내용들이 이미지로 머릿속에 쉽게 그려지지 않았다. 단어들이 유기성을 가지지 못하고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들이 혼재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자연과 벗삼아 사는 삶을 이야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는 저자의 의도가 그녀의 소박하지 못한 문체에 가려 어정쩡하게 느껴졌다. 사실 아무리 아름답고 탄탄한 문장이라도 문장안에서 묘사하고자 의도한 대상이 무엇인지 독자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글에 대한 몰입도와 이해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저자는 그녀가 사는 곳에서 나는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설익은 묘사와 반복되는 꾸며진 문체로 서술하며 독자의 이해를 방해했다.  

솔직히 말해서 책속에 나오는 그녀가 말하는 식물들의 삼분에일조차도 알지 못하는 나로써는 참 안타까운 일이였다. 물론 그 이야기에 등장한 식물들을 인터넷을 통해 찾아보는 노력을 하면 쉽게 이해가 되었을지도 모르겠지만, 독자들은 그렇게까지 부지런하지 못하다. 그리고 독자들은 작가의 이야기를 머릿속에서 자신만의 이미지로 이해하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이지 인터넷을 통해 이해하기 위해 읽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차라리 책에 중간중간에 들어간 아이들에 대한 삽화와 사진 대신 꽃에 대한 사진과 설명 삽화들을 넣었다면 독자들의 이해도는 훨씬 높아졌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런저런 아쉬운 점이 있었지만 그 아쉬움 이상으로 이 책을 통해 현재의 내 빡빡하고 번잡한 삶을 한번 되돌아 볼 수 있었다. 가난하고 삶이 질곡할수록 자신의 것을 하나라도 더 타인과 나누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이 책을 통해 만나는 순간에는 내 가슴도 따뜻해졌다. 그러다 문득 사람의 손이 타지 않은, 문명과 멀고 먼 곳일수록 사람들의 마음이 더 넉넉해지고 더 따스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문명의 때가 사람에게 끼지 않으니 사람의 선하고 푸근한 본질이 그대도 존재하기 때문이 아닐까? 소박한 사람들의 정이 살아있고 자연이 그 힘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하며 가슴에 꽃비가 내리게 해주는 그 곳, 곰배령에 언젠가 한번 가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